Seoul Campus

2. A design that changes everyday life / 디자인이 주는 내 일상의 변화 2 (Eng / Spa / Kor)

Date 2021-12-28 Writer scaadmin
  • Cultural Heritage & Tourism / Social Design
  • 디자인정책과 (황상미 주무관, 김희정 주무관)
  • 2021-12-28
Description: 

2.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olicy, A design that changes everyday life (2) 
2.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정책, 디자인이 주는 내 일상의 변화 (2)


Did you know th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on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was enac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여러분, 「서울특별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조례」가 전국 최초로 법제화 되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Based on the Ordinanc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ntinuously promotes the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rojects to address various social issues citizens experience in the modern society, such as crime, dementia, stress, and school violence, through design.
이에 근거하여 서울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겪는 범죄, 치매, 스트레스, 학교폭력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하는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In particular, to address the problems caused by rapid aging and an increase in dementia population, the SMG has been promoting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s by type since 2014. "Cognitive health design" is used to respond to rapid aging and dementia-related problems by maintaining and promoting cognitive abilities of the senior citizens’ memory, concentration, and orientation.
그 중 급속한 고령화와 치매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부터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유형별로 추진중입니다. ‘인지건강 디자인’은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집중력·지남력 등의 인지 능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여 급속한 고령화 및 치매문제에 대응하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What do you think? In this class, we will learn about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s.
어떠신가요? 이번 차시에서는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cept of Cognitive Health Design
인지건강 디자인의 개념

Korea’s aging rate as of 2017 is 14%. As such,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phase of aged society.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화율 14%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It is expected that we will enter the phase of super-aged society by 2026 where the ratio of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and over will reach over 20%.
그리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In particular, the Seoul’s aging index rose rapidly from 56.1% in 2008 to 127.3% in 2018. This is higher than the average index of 110.5%, indicating that the population is aging rapidly in Seoul.
특히, 서울시는 노령화 지수가 2008년 56.1%에서 2018년 127.3%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는 전국 기준 110.5%보다 높아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Dementia is a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of which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increases with age.
치매는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 가능성이 증가되는 만성퇴행성 질병입니다.
Dementia causes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burden and pain to both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 정신적·신체적·경제적 부담과 고통을 줍니다. 
It also causes social burden and increases socioeconomic cost.
그리고 사회적인 부담을 초래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As for senior citizens’ health to prevent dementia, it is essential to give them sufficient stimulation in three areas and keep balance between the stimuli in everyday life. 
치매예방을 위한 노인의 건강은 세 분야의 자극이 일상에서 충분히 주어지고 이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데요. 
The three areas of stimulation ar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신체, 정서, 사회적 자극이 그것입니다.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three areas, which are emotional area such as reminiscence, and attachment; physical area such as motor ability, cognitive ability, and sensory ability; and social area such as loss of role, loss of relationship, and economic loss,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When balance is broken as deficiency in any of the three areas is aggravated, it means a warning signal for cognitive health, resulting in the occurrence of dementia, etc.
중요한 것은 회상 애착심 등의 정서와 운동, 인지, 감각능력과 관련된 신체, 역할/관계/경제 상실의 사회 각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 분야에서의 결핍이 심화되어 균형이 깨질 때 치매 등의 인지건강에 적신호가 켜집니다.
For example, when it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physical health after getting hurt from a fall, the probability of dementia increases rapidly. On the other hand, even when physical and emotional stimuli is sufficient, if social stimulus brought by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is deficient, health in other two areas can also deteriorate.
예를 들어 낙상 등으로 신체적 건강유지가 어려워지면 갑자기 치매 등이 찾아올 확률이 높아지고 반면에 신체와 정서적인 자극이 충분히 주어져도 사람들과 교제하는 사회적 자극이 결핍되면 다른 두 분야의 건강도 같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As such, deficient stimulation in any of the three areas can result in a decrease in outside activities, which causes a decline in cognitive ability, and therefore, dementia progresses rapidly. 
따라서 세가지 자극 중 하나라도 결핍되어 바깥활동이 위축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되는 것입니다.
Cognitive health design, which can provide al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stimuli, will delay senior citizens’ entry to nursing homes and also enable Aging in Community (AIC), allowing senior citizens to continue to live in their own communities. This way, not only senior citizens’ quality of life will be improved, but also medical cost will be reduced.
따라서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모두 줄 수 있는 인지건강 디자인의 적용을 통해 노인요양시설이나 병원 등의 시설입소를 늦추고 살던 커뮤니티에서 잔존능력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AIC(Aging in Community)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면 노인의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의료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Instead of sending senior citizens to nursing homes, environmental improvement at and around the houses of senior citizens, wher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s effective in delaying or preventing dementia.
시설입소 대신 어르신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과 집주변, 이용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환경 개선이 이뤄질 경우 치매를 늦추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Performance and Procedures on Promoting Cognitive Health Design
인지건강 디자인 추진 실적, 추진절차

Cognitive health design provides guide to personal residential space, a subject to which the public sector has not paid attention so far. 
인지건강 디자인은 그동안 공공이 관심을 가지지 못하던 개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In addition, it improves the environment to help maintain and activate senior citizens’ cognitive health by providing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stimuli in their daily environment.
그리고 점차 위축되는 노인들의 일상 환경에 신체적·정서적·사회적 자극을 주어 인지건강을 유지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For the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 the SMG developed and applied cognitive health designs effective in preven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health targeting low-rise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은 저층주거지, 영구임대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및 인지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는 유형별 인지건강 디자인을 개발 및 적용했습니다.
In addition, through the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 the SMG developed conte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ies, stimulation of five senses, and social exchang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content is used to maintain and improve cognitive functions of senior citizens, such as memory, concentration, and orientation.
또한 서울시는 인지건강디자인 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신체활동, 오감자극, 사회적 교류 콘텐츠를 조성하여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등 인지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For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 the target residents’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solution are assessed in terms of cognition, sociability, convenience, and stability.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ssessment, the project effectiveness is validated based on the residents’ space use patterns identified through observation.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의 효과성은 대상지 주민의 솔루션 이용현황과 만족도를 인지성·사회성·편리성·안정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뿐 아니라 관찰을 통한 공간 이용행태를 함께 반영하여 검증하고 있습니다.
This table shows the performance of cognitive health design project by year since 2014.
다음은 2014년부터 연도별로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추진한 실적입니다.

“Centennial Garden” to prevent dementia of senior citizen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국내 최초, 어르신들을 위한 치매예방 ‘100세 정원’ 개발

Centennial Garden is a therapeutic garden that activates senior citizens’ brain functions by providing them with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stimuli, thereby promoting improvement in both cognitive health and healthy life years.
‘100세 정원’은 어르신들의 신체·사회·정서적 상호자극을 통해 다양한 부위의 뇌 기능을 활성화시켜 인지건강과 건강수명 향상을 동시에 유도하는 치유정원입니다.
In the outdoor space of Chungdam Social Welfare Center in Siheung-dong, Geumcheon-gu where the ratio of elderly population in high dementia risk group is high, a circular park in a scale of approximately 885 ㎡ was form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치매고위험군 노인인구 비율을 높은 금천구 시흥동 내 청답종합사회복지관 외부공간에 약 885㎡규모의 순환형 공원이 처음으로 조성되었습니다.
The walking trail inside the park is lined with around 100 species of flowers and trees that represent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Other design solutions, such as the  exercise equipment for cognitive health improvement (5 types), a horticultural therapy class, and a gallery, are applied to promote the senior citizen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stimuli.
공원 내에는 24절기 대표 꽃과 나무로 100여 종의 산책길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인지건강 운동기구, 원예치료 교실, 갤러리 등의 디자인 솔루션을 적용하여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centennial cognitive health project and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garden, the SMG decided the brand naming as “Centennial Garden.”  Centennial Garden is the first case of using the concept of “therapeutic environment” in Korea.
서울시는 100세 인지건강의 사업 취지와 치유정원의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브랜드 네이밍을 ‘100세 정원’으로 정했습니다. ‘100세 정원’은 ‘치유환경’ 개념을 도입한 국내 첫 사례입니다.
A senior citizen’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Therefore, when senior citizens’ outside activities start decreasing, their cognitive ability also declines, resulting in accelerated dementia progression.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인지기능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그로인해 바깥활동이 위축되기 시작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됩니다.
To prevent this, Centennial Garden is built near the residential space of senior citizens to naturally encourage their outside activities.
이를 예방하기 위해 어르신들의 거주 공간 근처에 조성된 ‘100세 정원’을 통해 어르신들의 외부활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Memory Building Village, 2015
기억키움마을, 2015

To rental apartment complex in Singil 4-dong, Yeongdeungpo-gu, Cognitive Health Design was applied with a goal to assist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cognitive health of residents including senior citizens with weakened cognitive ability.
영등포구 신길4동 임대아파트단지에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 등 주민들의 인지건강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인지건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As a result of the target site status analysis in the initial phase of project, a number of environmental factors hindering cognitive health, such as unsafe walking environment, difficulty in finding ways, insufficient resting space, and lack of opportunities for conversation, were identified. 
사업초기 대상지 현황 분석 결과 안전하지 못한 보행환경, 길 찾기의 어려움, 쉴 공간 부족, 대화기회 부족 등 다양한 인지 저해 환경이 존재했습니다. 
These factors result in gradually narrowing senior citizens’ radius of action and outside activities, and also cause residential spaces to be recognized as an “island.”
이로 인해 어르신들은 외부활동과 행동반경이 점점 줄어들어 외부와 단절되면서 주거공간이 ‘섬’처럼 인식되고 있었습니다.
At the entrances to apartment buildings which can be confusing, signposts with names of the apartment buildings were installed. On every floor of the buildings, large numbers were written in vivid colors to help senior citizens recognize the floors easily. 
현재는 헷갈리기 쉬운 아파트 출입구에는 이름을 붙여 이정표를 달았고, 층마다 눈에 띄는 색깔로 커다란 숫자를 써 층수 구분이 쉽도록 했습니다. 
In addi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illustrators, memory doorplate was created using senior citizens’ favorite pictures and was installed on the doors to their apartment houses. 
그리고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그림을 일러스트 작가와 함께 문패로 만들어 기억문패를 설치하였습니다. 
The doorplate helps senior citizens improve not only cognitive power to find homes with their own memory, but also their sense of pride and self-esteem. 
이를 통해 나만의 기억으로 집을 찾아갈 수 있게 되어 인지력은 물론 자부심과 자존감도 높아졌습니다. 
In the exercise space, which had not been used frequently in the past, an exercise plate showing exercise movements in pictures and an acupressure path were installed. 
또한 이용이 뜸하던 운동 공간에는 그림을 보며 체조를 따라할 수 있는 체조판과 지압길도 생겼습니다.
Moreover, Memory Dulle-gil designed to ensure senior citizens’ safe walking, as well as Memory Gallery and Memory Mailbox to assist in senior citizens daily activities and social communication within their living spheres have been installed.
그 외 어르신 생활권 내 일상생활 수행 및 사회적 소통에 도움이 되는 보행안전과 산책을 위한 기억둘레길, 기억갤러리, 기억우편함 등이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The result of an effectiveness analysis conducted by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health design improved senior citizens’ ability to find their ways around by 91.7%, frequency of going out and walking by 16.2%, and usefulness of the space for gatherings with neighbors by 20.7%.
한국주거학회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으로 길찾기 91.7%, 산책·외출빈도 16.2%, 이웃 모임장소 20.7% 향상되었습니다.

Dementia unit, contactless visiting room, 2020
치매전담실, 비대면 면회공간, 2020

For the project targeting local communities, a plan for application of preemptive cognitive health design within the facility environment range was developed for the target residents suffering from severe or higher level of dementia. 
지역커뮤니티 대상 사업에서 중증도 치매단계 이상 대상자에 대한 시설환경 범위의 선도적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 방안을 마련했는데요.
An applica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e “Seoul-Type Dementia Unit” design project for the Seoul Senior Care Center. In respons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design for “Family’s Living Room,” a contactless visiting room, was developed focusing on ensuring sanitation and disease prevention. 
시립노인전문요양센터 내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개발 사업으로 선도적 모델을 구축했고, 코로나 상황을 대비하여 방역·위생 등을 고려한 비대면 면회공간인 ‘가족의 거실’을 디자인 개발했습니다.
First, for the dementia unit, a space to increase senior citizens’ self-esteem based on the guarantee of their individualization and to stimulate and maintain their five senses was created.  
먼저, 치매 전담실은 어르신의 개인화 보장을 통한 자존감 향상 및 오감 자극·잔존능력 유지를 위한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Dementia is delayed by improving senior citizens’ cognitive health. Consideration was also given to the work efficiency of caregivers and the facility operators. In other words, the dementia unit was designed just like "home."
인지건강을 향상시켜 치매를 지연시키며, 요양보호사 및 운영자들의 업무 효율도 함께 고려했습니다. 즉 ‘집’과 같은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개발한 것입니다.
Family’s Living Room is a new-concept contactless visiting room in response to COVID-19 where senior citizens with dementia canrecognize and exchange with family members using their remaining abilities. 
가족의 거실은 치매어르신들의 잔존능력을 활용해 가족을 인지하며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코로나시대 새로운 형태의 비대면 면회공간입니다.
Senior citizens with weakened cognitive ability can think their children have abandoned them because they do not understand the COVID-19 situation. At present, contactless visits at senior care centers take place only limitedly. In addition, senior citizens and their visitors have to talk using microphones over glass or plastic walls, making it difficult to continue conversing throughout the short ten-minute session.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들은 코로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자식들이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현재 요양시설 비대면 면회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리나 비닐 벽을 사이에 두고 열악한 마이크 등으로 대화하므로 면회시간 10분을 다 채우기도 힘든 현실입니다.
Then, How would family members visit their living rooms in the COVID-19 era?
그럼, 가족의 거실에서는 면회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By wearing the gloves for sampling used at screening clinics, senior citizens could hold hands safely with their families for the first time in around one year. The visiting room is perfectly separated by glass panels. In addition, for senior citizens with weak hearing, a high-performance sound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hey can also talk with the family members who could not come to visit in person through video calls using a large screen.
선별진료소 검체 채취 방역글러브를 설치해 약 1년 만에 가족과 안전한 방식으로 손잡고 대화할 수 있고, 면회공간은 유리창으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청력이 약한 어르신을 위한 고성능 음향시스템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미처 못 온 가족과는 대형 화면으로 영상통화도 가능합니다.
Senior citizens can enter the visiting room directly through a passage connected to the center. As for the visitors, they come in through the external entrance and the risk of infection is kept to a minimum from start to end. The design also enables the use of wheelchairs and portable beds for senior citizens.
또한 어르신은 센터와 연결되는 전용 통로로 바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면회가족은 외부 전용 출입문으로 들어와 이동부터 면회까지 감염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휠체어와 이동형 침상 모두 이동과 배치가 가능하게 세심한 설계를 했습니다.
Family’s Living Room was installed through a pilot project at the Seoul Dongbu Senior Care Center. In addition, to the facilities that request installation, the design manual is provided for free.
가족의 거실은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네 시범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설치를 원하는 시설에 디자인 매뉴얼을 무상 제공합니다.

With a goal to address social problem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through a problem-based approach rather than the result-based urban aesthetics concept, the SMG is developing the design to address social problems centering on citizens’ participation process as a policy.
서울시는 결과 중심의 도시미학적 사고를 넘어,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시민들이 체감하는 사회문제의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시민 참여 프로세스 중심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을 정책화하고 있습니다.
This is a process to understand citizens’ needs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to suggest solutions from the designer’s perspective. 
이는 곧 수요자의 관점에서 시민의 니즈를 파악하여 디자이너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This is also a process to address social problems led by citizens where citizens participate in addressing social problems and resolving the problems together, and thus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그리고 시민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하여 함께 해결함으로써 시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시민주도형 사회문제해결 방식입니다.
The major participating entitie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Design process are citizens, the SMG, autonomous "gu" offices, relevant organizations, experts, and the resident operating bodies.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세스는 시민 및 서울시, 자치구·유관 기관, 전문가, 주민운영주체를 주요 참여주체로 봅니다. 
The process consists of the “preparation and planning stage” where the project directivity and operating strategy are reviewed and a process for citizens’ participation is planned; the “co-design development stage” where citizens and stakeholders work in cooperation; the “maintenance stage” where a plan to continue operating the derived solution is planned;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stage” where not only the solution itself, but also the effect and impact of the process are assessed; and lastly the “diffusion stage” where the diffusiveness and ripple effect of the solution is assessed based on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그리고 사업의 방향성과 운영 전략을 검토하여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계획하는 ‘준비/기획 단계’, 시민과 이해관계자가 협업하는 ‘공동디자인 개발 단계’, 도출된 솔루션을 지속 운영하기 위해 계획하는 ‘유지관리 단계’, 솔루션뿐만 아니라 프로세스의 효과와 영향력을 확인하는 ‘효과성 평가 단계’, 마지막으로 효과성 평가를 바탕으로 확산의 여부와 파급력을 확인하는 ‘확산 단계’로 구성되었습니다. 
Among Social Problem Solving Design projects through co-design by various participating entitie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the issue response-type project is implemented to concurrently develop user-customized policies, which is promoted together with the local communities, and prepare for changes in the future, such as to meet the social needs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e project will be continuously promoted to create a citizen-centered design city with social resilience.
디자인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참여주체들과 공동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업 중 이슈대응형은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수요자 맞춤형 정책과 더불어 포스트 코로나 등 사회적 니즈 충족을 위한 미래변화에 대비하는 이슈 대응 사업도 병행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회복력 있는 시민중심 디자인 도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 될 예정입니다.

2. Política de diseño de resolución de problemas sociales, Un diseño que cambia la vida cotidiana (2)
2.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정책, 디자인이 주는 내 일상의 변화 (2)


¿Sabía que la Ordenanza de diseño de resolución de problemas sociales de la ciudad metropolitana de Seúl fue la primera en promulgarse en el país?
여러분, 「서울특별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조례」가 전국 최초로 법제화 되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Con base en la Ordenanza, el Gobierno Metropolitano de Seúl a través del diseño promueve continuamente proyectos de "diseño de resolución de problemas sociales" para abordar diversos problemas sociales que los ciudadanos experimentan en la sociedad moderna, como la delincuencia, la demencia, el estrés y la violencia escolar.
이에 근거하여 서울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겪는 범죄, 치매, 스트레스, 학교폭력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하는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En particular, para abordar los problemas causados ​​por el envejecimiento rápido y un aumento en la población con demencia, el SMG ha estado promoviendo proyectos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por tipo desde el 2014. 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se utiliza para responder al envejecimiento rápido y los problemas relacionados con la demencia, manteniendo y promoviendo las capacidades cognitivas de la memoria, concentración y orientación de las personas mayores. 
그 중 급속한 고령화와 치매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부터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유형별로 추진중입니다. ‘인지건강 디자인’은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집중력·지남력 등의 인지 능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여 급속한 고령화 및 치매문제에 대응하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En esta sección, aprenderemos sobre proyectos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어떠신가요? 이번 차시에서는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cepto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인지건강 디자인의 개념

La tasa de envejecimiento de Corea a partir de 2017 es del 14%. Como tal, Corea ya ha entrado en la fase de sociedad envejecida.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화율 14%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Se espera que entremos en la fase de sociedad superevejecida en 2026, donde la proporción de personas de 65 años o más superará el 20%.
그리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En particular, el índice de envejecimiento de Seúl aumentó rápidamente del 56,1% en 2008 al 127,3% en 2018. Esto es más alto que el índice promedio del 110,5%, lo que indica que la población está envejeciendo rápidamente en Seúl..
특히, 서울시는 노령화 지수가 2008년 56.1%에서 2018년 127.3%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는 전국 기준 110.5%보다 높아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La demencia es una enfermedad crónica degenerativa cuya probabilidad de aparición aumenta con la edad.
치매는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 가능성이 증가되는 만성퇴행성 질병입니다.
La demencia causa dolor y carga mental, física y económica tanto a los pacientes como a sus familias.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 정신적·신체적·경제적 부담과 고통을 줍니다. 
También causa carga social y aumenta el costo socioeconómico.
그리고 사회적인 부담을 초래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Para prevenir la demencia en las personas mayores es fundamental darles suficiente estimulación en tres áreas y mantener el equilibrio entre los estímulos en la vida cotidiana. 
치매예방을 위한 노인의 건강은 세 분야의 자극이 일상에서 충분히 주어지고 이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데요. 
Las tres áreas de estimulación son física, emocional y social.
신체, 정서, 사회적 자극이 그것입니다.
Lo importante es que las tres áreas que son áreas emocionales ,como la reminiscencia y el apego; áreas físicas como la capacidad motora, la capacidad cognitiva y la capacidad sensorial; y áreas sociales como la pérdida de rol, la pérdida de relaciones y la pérdida económica, están orgánicamente interconectadas entre sí. Cuando se rompe el equilibrio debido a que se agrava la deficiencia en cualquiera de las tres áreas, significa una señal de advertencia para la salud cognitiva, lo que resulta en la aparición de demencia, etc.
중요한 것은 회상 애착심 등의 정서와 운동, 인지, 감각능력과 관련된 신체, 역할/관계/경제 상실의 사회 각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 분야에서의 결핍이 심화되어 균형이 깨질 때 치매 등의 인지건강에 적신호가 켜집니다.
Por ejemplo, cuando se vuelve difícil mantener la salud física después de lastimarse por una caída, la probabilidad de demencia aumenta rápidamente. Por otro lado, incluso cuando los estímulos físicos y emocionales son suficientes, si el estímulo social provocado por la interacción con otras personas es deficiente, la salud en otras dos áreas también puede deteriorarse.
예를 들어 낙상 등으로 신체적 건강유지가 어려워지면 갑자기 치매 등이 찾아올 확률이 높아지고 반면에 신체와 정서적인 자극이 충분히 주어져도 사람들과 교제하는 사회적 자극이 결핍되면 다른 두 분야의 건강도 같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Como tal, la estimulación deficiente en cualquiera de las tres áreas puede resultar en una disminución en las actividades externas, lo que provoca una disminución en la capacidad cognitiva y, por lo tanto, la demencia progresa rápidamente.
따라서 세가지 자극 중 하나라도 결핍되어 바깥활동이 위축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되는 것입니다.
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que puede proporcionar todos los estímulos físicos, emocionales y sociales, retrasará la entrada de las personas mayores a los hogares de ancianos y también permitirá el envejecimiento en la comunidad (AIC), lo que permitirá que las personas mayores sigan viviendo en sus propias comunidades. De esta manera, no solo se mejorará la calidad de vida de las personas mayores, sino que también se reducirán los costos médicos.
따라서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모두 줄 수 있는 인지건강 디자인의 적용을 통해 노인요양시설이나 병원 등의 시설입소를 늦추고 살던 커뮤니티에서 잔존능력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AIC(Aging in Community)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면 노인의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의료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n lugar de enviar a las personas mayores a hogares de ancianos, la mejora ambiental en y alrededor de las casas de las personas mayores, donde pasan la mayor parte de su tiempo, es eficaz para retrasar o prevenir la demencia
시설입소 대신 어르신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과 집주변, 이용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환경 개선이 이뤄질 경우 치매를 늦추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Desempeño y procedimientos para promover 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인지건강 디자인 추진 실적, 추진절차

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proporciona una guía para el espacio residencial personal, un tema al que el sector público no ha prestado atención hasta ahora. 
인지건강 디자인은 그동안 공공이 관심을 가지지 못하던 개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Además, mejora el entorno para ayudar a mantener y activar la salud cognitiva de las personas mayores al proporcionar estímulos físicos, emocionales y sociales en su entorno diario.
그리고 점차 위축되는 노인들의 일상 환경에 신체적·정서적·사회적 자극을 주어 인지건강을 유지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Para el proyecto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el SMG desarrolló y aplicó diseños de salud cognitiva eficaces para prevenir la demencia y mejorar la salud cognitiva dirigidos a viviendas de baja altura y apartamentos de alquiler permanente.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은 저층주거지, 영구임대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및 인지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는 유형별 인지건강 디자인을 개발 및 적용했습니다.
Además, a través del proyecto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el SMG desarrolló contenido para promover las actividades físicas, la estimulación de los cinco sentidos y el intercambio social por primera vez en Corea. El contenido se utiliza para mantener y mejorar las funciones cognitivas de las personas mayores, como la memoria, la concentración y la orientación.
또한 서울시는 인지건강디자인 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신체활동, 오감자극, 사회적 교류 콘텐츠를 조성하여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등 인지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Para la efectividad del proyecto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el uso y la satisfacción de los residentes targets se evalúan en términos de cognición, sociabilidad, conveniencia y estabilidad. Además de la evaluación cuantitativa, la efectividad del proyecto se valida en función de los patrones de uso del espacio de los residentes identificados a través de la observación.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의 효과성은 대상지 주민의 솔루션 이용현황과 만족도를 인지성·사회성·편리성·안정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뿐 아니라 관찰을 통한 공간 이용행태를 함께 반영하여 검증하고 있습니다.
Esta tabla muestra el desempeño del proyecto de diseño de salud cognitiva por año desde 2014.
다음은 2014년부터 연도별로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추진한 실적입니다.

"Centennial Garden" para prevenir la demencia de las personas mayores por primera vez en Corea
국내 최초, 어르신들을 위한 치매예방 ‘100세 정원’ 개발

Centennial Garden es un jardín terapéutico que activa las funciones cerebrales de las personas mayores proporcionándoles estímulos físicos, sociales y emocionales, promoviendo así la mejora tanto en la salud cognitiva como en los años de vida saludables..
‘100세 정원’은 어르신들의 신체·사회·정서적 상호자극을 통해 다양한 부위의 뇌 기능을 활성화시켜 인지건강과 건강수명 향상을 동시에 유도하는 치유정원입니다.
En el espacio al aire libre del Centro de Bienestar Social de Chungdam en Siheung-dong, Geumcheon-gu, donde la proporción de población anciana en el grupo de alto riesgo de demencia es alta, se formó por primera vez en Corea un parque circular en una escala de aproximadamente 885 ㎡.
치매고위험군 노인인구 비율을 높은 금천구 시흥동 내 청답종합사회복지관 외부공간에 약 885㎡규모의 순환형 공원이 처음으로 조성되었습니다.
El sendero para caminar dentro del parque está bordeado por alrededor de 100 especies de flores y árboles que representan las 24 divisiones del año. Otras soluciones de diseño, como el equipo de ejercicios para la mejora de la salud cognitiva (5 tipos), una clase de terapia hortícola y una galería, se aplican para promover los estímulos físicos, emocionales y sociales de las personas mayores.
공원 내에는 24절기 대표 꽃과 나무로 100여 종의 산책길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인지건강 운동기구, 원예치료 교실, 갤러리 등의 디자인 솔루션을 적용하여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Teniendo en cuenta el propósito del proyecto centenario de salud cognitiva y las características del jardín terapéutico, el SMG decidió el nombre de la marca como “Jardín centenario”. Centennial Garden es el primer caso de uso del concepto de "entorno terapéutico" en Corea.
서울시는 100세 인지건강의 사업 취지와 치유정원의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브랜드 네이밍을 ‘100세 정원’으로 정했습니다. ‘100세 정원’은 ‘치유환경’ 개념을 도입한 국내 첫 사례입니다.
Las funciones físicas y cognitivas de una persona mayor están estrechamente relacionadas entre sí. Por lo tanto, cuando las actividades externas de las personas mayores comienzan a disminuir, su capacidad cognitiva también disminuye, lo que resulta en una progresión acelerada de la demencia..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인지기능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그로인해 바깥활동이 위축되기 시작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됩니다.
Para evitar esto, Centennial Garden se construye cerca del espacio residencial de las personas mayores para incentivar naturalmente sus actividades al aire libre..
이를 예방하기 위해 어르신들의 거주 공간 근처에 조성된 ‘100세 정원’을 통해 어르신들의 외부활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Pueblo de construcción de la Memoria 2015
기억키움마을, 2015

Al complejo de apartamentos de alquiler en Singil 4-dong, Yeongdeungpo-gu, se aplicó 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con el objetivo de ayudar a mantener y mejorar la salud cognitiva de los residentes, incluidos los ancianos con capacidad cognitiva debilitada.
영등포구 신길4동 임대아파트단지에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 등 주민들의 인지건강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인지건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Como resultado del análisis del estado en sito en la fase inicial del proyecto, se identificaron una serie de factores ambientales que obstaculizan la salud cognitiva, como un entorno para caminar inseguro, dificultad para encontrar caminos, espacio de descanso insuficiente y falta de oportunidades para conversar. 
사업초기 대상지 현황 분석 결과 안전하지 못한 보행환경, 길 찾기의 어려움, 쉴 공간 부족, 대화기회 부족 등 다양한 인지 저해 환경이 존재했습니다. 
Estos factores dan como resultado que se reduzca gradualmente el radio de acción y las actividades externas de las personas mayores, y también hacen que los espacios residenciales sean reconocidos como una "isla".
이로 인해 어르신들은 외부활동과 행동반경이 점점 줄어들어 외부와 단절되면서 주거공간이 ‘섬’처럼 인식되고 있었습니다.
En las entradas a los edificios, lo que puede resultar confuso, se instalaron carteles con los nombres de los edificios. En cada piso de los edificios, se escribieron grandes números en colores vivos para ayudar a las personas mayores a reconocer los pisos fácilmente. 
현재는 헷갈리기 쉬운 아파트 출입구에는 이름을 붙여 이정표를 달았고, 층마다 눈에 띄는 색깔로 커다란 숫자를 써 층수 구분이 쉽도록 했습니다. 
Además, a través de la colaboración con ilustradores, se creó una placa de memoria con las imágenes favoritas de las personas mayores y se instaló en las puertas de sus apartamentos. 
그리고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그림을 일러스트 작가와 함께 문패로 만들어 기억문패를 설치하였습니다. 
La placa de la puerta ayuda a las personas mayores a mejorar no solo su poder cognitivo para encontrar hogares con su propia memoria, sino también su sentido de orgullo y autoestima. 
이를 통해 나만의 기억으로 집을 찾아갈 수 있게 되어 인지력은 물론 자부심과 자존감도 높아졌습니다. 
En el espacio de ejercicio, que no se había utilizado con frecuencia en el pasado, se instaló una placa de ejercicio que mostraba los movimientos del ejercicio en imágenes y una ruta de acupresión.
또한 이용이 뜸하던 운동 공간에는 그림을 보며 체조를 따라할 수 있는 체조판과 지압길도 생겼습니다.
Además, se han instalado Memory Dulle-gil, diseñado para garantizar que las personas mayores caminen de forma segura, así como Memory Gallery y Memory Mailbox para ayudar en las actividades diarias de las personas mayores y la comunicación social dentro de sus esferas de vida.
그 외 어르신 생활권 내 일상생활 수행 및 사회적 소통에 도움이 되는 보행안전과 산책을 위한 기억둘레길, 기억갤러리, 기억우편함 등이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El resultado de un análisis de efectividad realizado por la Asociación de Vivienda de Corea indica que la aplicación del diseño de salud cognitiva mejoró la capacidad de las personas mayores para orientarse en un 91,7%, la frecuencia de salir y caminar en un 16,2% y la utilidad del espacio para reuniones con vecinos en un 20,7%.
한국주거학회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으로 길찾기 91.7%, 산책·외출빈도 16.2%, 이웃 모임장소 20.7% 향상되었습니다.

Unidad de demencia, sala de visitas sin contacto, 2020
치매전담실, 비대면 면회공간, 2020

Para el proyecto dirigido a las comunidades locales, se desarrolló un plan para la aplicación de un diseño preventivo de salud cognitiva dentro del rango del entorno de la instalación para los residentes objetivo que sufren de demencia grave o un nivel más alto. 
지역커뮤니티 대상 사업에서 중증도 치매단계 이상 대상자에 대한 시설환경 범위의 선도적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 방안을 마련했는데요.
Se desarrolló un modelo de aplicación a través del proyecto de diseño de la “Unidad de Demencia tipo Seúl” para el Centro de Atención para Personas Mayores de Seúl. En respuesta a la situación de COVID-19, se desarrolló el diseño de la "Sala de estar de la familia", una sala de visitas sin contacto, centrándose en garantizar el saneamiento y la prevención de enfermedades..
시립노인전문요양센터 내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개발 사업으로 선도적 모델을 구축했고, 코로나 상황을 대비하여 방역·위생 등을 고려한 비대면 면회공간인 ‘가족의 거실’을 디자인 개발했습니다.
En primer lugar, para la unidad de demencia se creó un espacio para incrementar la autoestima de las personas mayores basado en la garantía de su individualización y para estimular y mantener sus cinco sentidos.
먼저, 치매 전담실은 어르신의 개인화 보장을 통한 자존감 향상 및 오감 자극·잔존능력 유지를 위한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La demencia se retrasa al mejorar la salud cognitiva de las personas mayores. También se tuvo en cuenta la eficiencia del trabajo de los cuidadores y los operadores de las instalaciones. En otras palabras, la unidad de demencia fue diseñada como un "hogar".
인지건강을 향상시켜 치매를 지연시키며, 요양보호사 및 운영자들의 업무 효율도 함께 고려했습니다. 즉 ‘집’과 같은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개발한 것입니다.
La sala de estar de la familia es una sala de visitas sin contacto y es un nuevo concepto en respuesta al COVID-19 donde las personas mayores con demencia pueden reconocer e intercambiar con los miembros de la familia utilizando sus habilidades restantes.
가족의 거실은 치매어르신들의 잔존능력을 활용해 가족을 인지하며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코로나시대 새로운 형태의 비대면 면회공간입니다.
Las personas mayores con capacidad cognitiva debilitada pueden pensar que sus hijos los han abandonado porque no comprenden la situación del COVID-19. En la actualidad, las visitas sin contacto a los centros de atención para personas mayores se realizan de forma limitada. Además, las personas mayores y sus visitantes deben hablar con micrófonos sobre paredes de vidrio o plástico, lo que dificulta seguir conversando durante la breve sesión de diez minutos..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들은 코로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자식들이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현재 요양시설 비대면 면회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리나 비닐 벽을 사이에 두고 열악한 마이크 등으로 대화하므로 면회시간 10분을 다 채우기도 힘든 현실입니다.
Entonces, ¿cómo visitarían los miembros de la familia en la era COVID-19?
그럼, 가족의 거실에서는 면회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Usando guantes que se usan en las clínicas de detección para la toma de muestras, las personas mayores pudieron tomarse de la mano de manera segura con sus familias por primera vez en aproximadamente un año. La sala de visitas está perfectamente separada por paneles de vidrio. Además, para las personas mayores con problemas de audición, se ha establecido un sistema de sonido de alto rendimiento. También pueden hablar con los miembros de la familia que no pudieron venir a visitarlos en persona a través de videollamadas usando una pantalla grande.
선별진료소 검체 채취 방역글러브를 설치해 약 1년 만에 가족과 안전한 방식으로 손잡고 대화할 수 있고, 면회공간은 유리창으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청력이 약한 어르신을 위한 고성능 음향시스템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미처 못 온 가족과는 대형 화면으로 영상통화도 가능합니다.
Las personas mayores pueden ingresar a la sala de visitas directamente a través de un pasaje conectado al centro. En cuanto a los visitantes, entran por la entrada exterior y el riesgo de contagio se mantiene al mínimo de principio a fin. El diseño también permite el uso de sillas de ruedas y camas portátiles para personas mayores.
또한 어르신은 센터와 연결되는 전용 통로로 바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면회가족은 외부 전용 출입문으로 들어와 이동부터 면회까지 감염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휠체어와 이동형 침상 모두 이동과 배치가 가능하게 세심한 설계를 했습니다.
La sala de estar de la familia se instaló mediante un proyecto piloto en el Centro de Atención para Personas Mayores Dongbu de Seúl. Además, a las instalaciones que soliciten instalación, el manual de diseño se entrega de forma gratuita.
가족의 거실은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네 시범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설치를 원하는 시설에 디자인 매뉴얼을 무상 제공합니다.

Con el objetivo de abordar los problemas sociales y mejorar la calidad de vida de los ciudadanos a través de un enfoque basado en problemas en lugar del concepto de estética urbana basado en resultados, el SMG está desarrollando el diseño para abordar los problemas sociales centrados en el proceso de participación ciudadana como política.
서울시는 결과 중심의 도시미학적 사고를 넘어,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시민들이 체감하는 사회문제의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시민 참여 프로세스 중심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을 정책화하고 있습니다.
Este es un proceso para comprender las necesidades de los ciudadanos desde la perspectiva del usuario y sugerir soluciones desde la perspectiva del diseñador. 
이는 곧 수요자의 관점에서 시민의 니즈를 파악하여 디자이너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Este es también un proceso de abordaje de problemas sociales liderado por la ciudadanía donde los ciudadanos participan en el abordaje de los problemas sociales y la resolución conjunta de los problemas, y así contribuir a mejorar su calidad de vida.
그리고 시민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하여 함께 해결함으로써 시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시민주도형 사회문제해결 방식입니다.
Las principales entidades participantes del proceso de Diseño de Resolución de Problemas Sociales son los ciudadanos, el SMG, las oficinas autónomas "gu", las organizaciones relevantes, los expertos y los organismos operativos residentes..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세스는 시민 및 서울시, 자치구·유관 기관, 전문가, 주민운영주체를 주요 참여주체로 봅니다. 
El proceso consiste en la “etapa de preparación y planificación” donde se revisa la direccionalidad del proyecto y la estrategia operativa y se planifica un proceso de participación ciudadana; la “etapa de desarrollo de co-diseño” donde los ciudadanos y las partes interesadas trabajan en cooperación; la “etapa de mantenimiento” donde se planifica un plan para continuar operando la solución derivada; la “etapa de evaluación de la eficacia”, en la que no solo se evalúa la solución en sí, sino también el efecto y el impacto del proceso; y, por último, la "etapa de difusión" donde se evalúa la difusión y el efecto dominó de la solución en función de la evaluación de la eficacia.
그리고 사업의 방향성과 운영 전략을 검토하여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계획하는 ‘준비/기획 단계’, 시민과 이해관계자가 협업하는 ‘공동디자인 개발 단계’, 도출된 솔루션을 지속 운영하기 위해 계획하는 ‘유지관리 단계’, 솔루션뿐만 아니라 프로세스의 효과와 영향력을 확인하는 ‘효과성 평가 단계’, 마지막으로 효과성 평가를 바탕으로 확산의 여부와 파급력을 확인하는 ‘확산 단계’로 구성되었습니다. 
Entre los proyectos de Diseño de Resolución de Problemas Sociales a través del co-diseño de varias entidades participantes basados ​​en el pensamiento de diseño, el proyecto de tipo respuesta al problema se implementa para desarrollar simultáneamente políticas personalizadas por el usuario, que se promueven junto con las comunidades locales, y se preparan para cambios en el futuro, como para satisfacer las necesidades sociales en la era posterior al COVID-19. Además, el proyecto se promoverá continuamente para crear una ciudad de diseño centrada en el ciudadano con resiliencia social.
디자인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참여주체들과 공동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업 중 이슈대응형은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수요자 맞춤형 정책과 더불어 포스트 코로나 등 사회적 니즈 충족을 위한 미래변화에 대비하는 이슈 대응 사업도 병행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회복력 있는 시민중심 디자인 도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 될 예정입니다.
2.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정책, 디자인이 주는 내 일상의 변화 (2)

여러분, 「서울특별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조례」가 전국 최초로 법제화 되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이에 근거하여 서울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겪는 범죄, 치매, 스트레스, 학교폭력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디자인으로 해결하는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중 급속한 고령화와 치매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부터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유형별로 추진중입니다. ‘인지건강 디자인’은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집중력·지남력 등의 인지 능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여 급속한 고령화 및 치매문제에 대응하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어떠신가요? 이번 차시에서는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지건강 디자인의 개념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화율 14%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그리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특히, 서울시는 노령화 지수가 2008년 56.1%에서 2018년 127.3%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는 전국 기준 110.5%보다 높아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치매는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 가능성이 증가되는 만성퇴행성 질병입니다.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 정신적·신체적·경제적 부담과 고통을 줍니다. 
그리고 사회적인 부담을 초래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치매예방을 위한 노인의 건강은 세 분야의 자극이 일상에서 충분히 주어지고 이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인데요. 
신체, 정서, 사회적 자극이 그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회상 애착심 등의 정서와 운동, 인지, 감각능력과 관련된 신체, 역할/관계/경제 상실의 사회 각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 분야에서의 결핍이 심화되어 균형이 깨질 때 치매 등의 인지건강에 적신호가 켜집니다.
예를 들어 낙상 등으로 신체적 건강유지가 어려워지면 갑자기 치매 등이 찾아올 확률이 높아지고 반면에 신체와 정서적인 자극이 충분히 주어져도 사람들과 교제하는 사회적 자극이 결핍되면 다른 두 분야의 건강도 같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가지 자극 중 하나라도 결핍되어 바깥활동이 위축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모두 줄 수 있는 인지건강 디자인의 적용을 통해 노인요양시설이나 병원 등의 시설입소를 늦추고 살던 커뮤니티에서 잔존능력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 AIC(Aging in Community)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면 노인의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의료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설입소 대신 어르신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과 집주변, 이용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적절한 환경 개선이 이뤄질 경우 치매를 늦추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인지건강 디자인 추진 실적, 추진절차
인지건강 디자인은 그동안 공공이 관심을 가지지 못하던 개인의 주거공간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점차 위축되는 노인들의 일상 환경에 신체적·정서적·사회적 자극을 주어 인지건강을 유지하고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은 저층주거지, 영구임대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및 인지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는 유형별 인지건강 디자인을 개발 및 적용했습니다.
또한 서울시는 인지건강디자인 사업을 통해 국내 최초로 신체활동, 오감자극, 사회적 교류 콘텐츠를 조성하여 어르신들의 저하된 기억력, 집중력, 지남력 등 인지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의 효과성은 대상지 주민의 솔루션 이용현황과 만족도를 인지성·사회성·편리성·안정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뿐 아니라 관찰을 통한 공간 이용행태를 함께 반영하여 검증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2014년부터 연도별로 인지건강 디자인 사업을 추진한 실적입니다.

국내 최초, 어르신들을 위한 치매예방 ‘100세 정원’ 개발
‘100세 정원’은 어르신들의 신체·사회·정서적 상호자극을 통해 다양한 부위의 뇌 기능을 활성화시켜 인지건강과 건강수명 향상을 동시에 유도하는 치유정원입니다.
치매고위험군 노인인구 비율을 높은 금천구 시흥동 내 청답종합사회복지관 외부공간에 약 885㎡규모의 순환형 공원이 처음으로 조성되었습니다.
공원 내에는 24절기 대표 꽃과 나무로 100여 종의 산책길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인지건강 운동기구, 원예치료 교실, 갤러리 등의 디자인 솔루션을 적용하여 신체·정서·사회적 자극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100세 인지건강의 사업 취지와 치유정원의 공간 특성을 고려하여 브랜드 네이밍을 ‘100세 정원’으로 정했습니다. ‘100세 정원’은 ‘치유환경’ 개념을 도입한 국내 첫 사례입니다.
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인지기능은 밀접하게 관련돼 있습니다. 그로인해 바깥활동이 위축되기 시작하면 인지능력도 감퇴해 치매가 빨리 진행됩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어르신들의 거주 공간 근처에 조성된 ‘100세 정원’을 통해 어르신들의 외부활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기억키움마을, 2015
영등포구 신길4동 임대아파트단지에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 등 주민들의 인지건강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인지건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사업초기 대상지 현황 분석 결과 안전하지 못한 보행환경, 길 찾기의 어려움, 쉴 공간 부족, 대화기회 부족 등 다양한 인지 저해 환경이 존재했습니다. 
이로 인해 어르신들은 외부활동과 행동반경이 점점 줄어들어 외부와 단절되면서 주거공간이 ‘섬’처럼 인식되고 있었습니다.
현재는 헷갈리기 쉬운 아파트 출입구에는 이름을 붙여 이정표를 달았고, 층마다 눈에 띄는 색깔로 커다란 숫자를 써 층수 구분이 쉽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그림을 일러스트 작가와 함께 문패로 만들어 기억문패를 설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나만의 기억으로 집을 찾아갈 수 있게 되어 인지력은 물론 자부심과 자존감도 높아졌습니다. 
또한 이용이 뜸하던 운동 공간에는 그림을 보며 체조를 따라할 수 있는 체조판과 지압길도 생겼습니다.
그 외 어르신 생활권 내 일상생활 수행 및 사회적 소통에 도움이 되는 보행안전과 산책을 위한 기억둘레길, 기억갤러리, 기억우편함 등이 잘 조성되어 있습니다.
한국주거학회 효과성 분석 결과,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으로 길찾기 91.7%, 산책·외출빈도 16.2%, 이웃 모임장소 20.7% 향상되었습니다.

치매전담실, 비대면 면회공간, 2020
지역커뮤니티 대상 사업에서 중증도 치매단계 이상 대상자에 대한 시설환경 범위의 선도적 인지건강 디자인 적용 방안을 마련했는데요.
시립노인전문요양센터 내 ‘서울형 치매전담실’ 디자인 개발 사업으로 선도적 모델을 구축했고, 코로나 상황을 대비하여 방역·위생 등을 고려한 비대면 면회공간인 ‘가족의 거실’을 디자인 개발했습니다.
먼저, 치매 전담실은 어르신의 개인화 보장을 통한 자존감 향상 및 오감 자극·잔존능력 유지를 위한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인지건강을 향상시켜 치매를 지연시키며, 요양보호사 및 운영자들의 업무 효율도 함께 고려했습니다. 즉 ‘집’과 같은 치매전담실 디자인을 개발한 것입니다.
가족의 거실은 치매어르신들의 잔존능력을 활용해 가족을 인지하며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코로나시대 새로운 형태의 비대면 면회공간입니다.
인지능력이 약해진 어르신들은 코로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자식들이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현재 요양시설 비대면 면회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유리나 비닐 벽을 사이에 두고 열악한 마이크 등으로 대화하므로 면회시간 10분을 다 채우기도 힘든 현실입니다.
그럼, 가족의 거실에서는 면회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선별진료소 검체 채취 방역글러브를 설치해 약 1년 만에 가족과 안전한 방식으로 손잡고 대화할 수 있고, 면회공간은 유리창으로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청력이 약한 어르신을 위한 고성능 음향시스템이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미처 못 온 가족과는 대형 화면으로 영상통화도 가능합니다.
또한 어르신은 센터와 연결되는 전용 통로로 바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면회가족은 외부 전용 출입문으로 들어와 이동부터 면회까지 감염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어르신들이 이용하는 휠체어와 이동형 침상 모두 이동과 배치가 가능하게 세심한 설계를 했습니다.
가족의 거실은 시립동부노인요양센터네 시범 설치되었습니다. 그리고 설치를 원하는 시설에 디자인 매뉴얼을 무상 제공합니다.

서울시는 결과 중심의 도시미학적 사고를 넘어, 문제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시민들이 체감하는 사회문제의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시민 참여 프로세스 중심의 사회문제해결디자인을 정책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수요자의 관점에서 시민의 니즈를 파악하여 디자이너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시민들이 사회문제 해결에 참여하여 함께 해결함으로써 시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시민주도형 사회문제해결 방식입니다.
사회문제해결디자인 프로세스는 시민 및 서울시, 자치구·유관 기관, 전문가, 주민운영주체를 주요 참여주체로 봅니다. 
그리고 사업의 방향성과 운영 전략을 검토하여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계획하는 ‘준비/기획 단계’, 시민과 이해관계자가 협업하는 ‘공동디자인 개발 단계’, 도출된 솔루션을 지속 운영하기 위해 계획하는 ‘유지관리 단계’, 솔루션뿐만 아니라 프로세스의 효과와 영향력을 확인하는 ‘효과성 평가 단계’, 마지막으로 효과성 평가를 바탕으로 확산의 여부와 파급력을 확인하는 ‘확산 단계’로 구성되었습니다. 
디자인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참여주체들과 공동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사업 중 이슈대응형은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수요자 맞춤형 정책과 더불어 포스트 코로나 등 사회적 니즈 충족을 위한 미래변화에 대비하는 이슈 대응 사업도 병행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회복력 있는 시민중심 디자인 도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 될 예정입니다.

Related Contents

Total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