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열기/닫기

서울 정책아카이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새소식

  • 『글로벌 약자와의 동행』을 위한 해외 도시철도관계자 초청연수, 민간기업 추천 대상국가(도..
    등록일 2025-07-02 글쓴이 seoulsolution
    서울시 민선 8기 핵심시정인 ‘약자와의 동행’을 전 세계로 확대한 ‘글로벌 약자와의 동행’의 일환으로 도시 개발·운영 정책경험을 기반으로 개발도상국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서울도시철도 건설·운영 노하우를 개발도상국에 전수함으로써 교통문제 해결, 교통취약계층 삶 개선 등을 글로벌 약자 동행 도시로서 입지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해외 도시철도관계자 초청연수』계획과 관련하여 희망 개발도상국가(도시, 기관)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해외진출에 관심 있는 민간기업에서는 초청연수 참가를 희망하는 개발도상국가(도시, 기관)를 추천하여 주시면 심사 등을 거쳐 초청연수에 참석하도록 할 예정이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 초청연수 개요   ❍ 시행시기: 2025.10.26.~11.1.(6박 7일(예정))      ※ 서울시(본부) 사정에 따라 기간은 변경될 수 있음.   ❍ 초청연수: 민간기업 추천 개발도상국가 6개국 이내   ❍ 시행방법: 서울시(본부), 공사(서울교통공사), 민간기업과 협의체 구성·운영하여 세부 연수프로그램 등 마련하여 시행   ❍ 연수 프로그램(안)  일 정 구 분 프 로 그 램 비고 10.26(일) 입 국 o 입국(인천공항) o 숙소배정, 입교 안내   10.27(월) 정책소개 o 초청연수 환영식(참석자 소개, 연수일정 안내) o 서울시 정책 및 도시철도 현황 소개 o 서울교통정보센터(TOPIS) 견학 서울국제개발협력단 교통첨단교통과 10.28(화) 기관방문 현장견학 o 영동대로 건설사업 현장견학 o 9호선 관제실 및 역사 방문, 급완행 열차 시승 o 한강 주변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 등 탐방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부공원여가센터 10.29(수) o 차량 제작공장 견학 차량제작업체 10.30(목) o 중전철 통합관제실 및 차량기지 견학 - 서울지하철 1~9호선 운영기관 서울교통공사 견학 o 진접선 차량기지 건설현장 방문 서울교통공사 10.31(금) 문화체험 o 서울 문화체험(서북촌, 창덕궁, 인사동 투어 등) o 초청연수자 발표(대표) 및 설문조사 o 수료식 및 환송식   11.1(토) 출 국 o 출국(인천공항)   ※상기 일정은 초청연수생의 요청사항과 실무회의 결과, 방문기관 협의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민간기업의 추천 개발도상국가(도시) 선정 방법   ❍ 모집규모: 6개국 14명 이내(연수생은 국가별 2명 이내)      ※ 사정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 추천 국가(도시) 선정기준 ① 서울교통공사(컨소시엄 포함)에서 추진 중인 사업 예정 개발도상국가(도시) ② 민간기업에서 추진 중인 해외진출 사업으로 확정 또는 확정단계인 개발도상국가(도시) ③ 해외국가(도시)에서 초청연수를 직접 신청한 개발도상국가(도시) ④ 진행과정 중 초청연수 실무회의 등에서 정하는 개발도상국가(도시)   ❍ 참가 연수생 선정기준 ① 선정된 개발도상국가(도시)의 도시철도 정책관리자 최우선 선정 ② 선정된 개발도상국가(도시)의 철도관련 간부 또는 업무담당  ③ 시의원, 정치인 등 철도업무 관계자 ④ 상기 기준에 적합한 자 중 영어로 의사소통 가능한 자를 우선 선정     ❍ 예산지원: 연수 및 체재비 지원     ※ 민간기업에서 추천된 연수생의 항공료는 민간기업에서 부담 󰏅 추천방법   ❍ 서울정책아카이브(https://seoulsolution.kr) 접속하여  정책공유사업 → 초청연수 사업 → 초청연수 신청 → 연수신청하기 에서 신청   ❍ 등록내용     - 작 성 자: 성명, 이메일, 연락처     - 추천국가: 국가(도시), 기관, 도시현황, 철도건설계획 및 추천하는 민간기업의 진행상황(주요 추진 일자별로 자세히 작성)     - 추천연수생: 성명, 직책, 담당업무, 추천사유 등   󰏅 접수기한     2025.7.25.(금) 서울정책아카이브 접수분까지 󰏅 문 의   ❍ 담당자: 오재련(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도시철도설계부 설계총괄과)   ❍ 연락처: ☏ 02-6438-2522,  FAX 02-6438-2550   ❍ e-메일: jaeryen@seoul.go.kr   󰏅 참고사항   ❍ 초청연수대상 국가(도시, 기관)에 선정된 민간기업에 한해 공문 통보   ❍ 연수생의 입국 준비 및 연수 중 개별 안내는 추천 민간기업의 책임하에 이행  
  • ‘우리동네 동물병원’에서 취약계층 반려동물 의료지원 해드려요
    등록일 2025-02-26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는 취약계층 반려동물 의료 지원 사업인 「우리동네 동물병원」사업을 오는 3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 시는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취약계층의 경우, 평상시 양육비뿐 아니라 반려동물이 아플 때 지출해야 하는 진료비에 대한 부담이 커 이를 완화하기 위해 ’21년부터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을 시작했으며, ’22년 1,388마리, ’23년 1,864마리, ’24년 2,539마리의 진료비를 지원한 바 있다. □ 2019년 취약계층의 반려동물 양육 실태를 조사한 결과 외로워서 반려동물을 키우게 되었다는 답변이 20.4%였으며, 반려동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어려움을 생활비를 줄여 해결한다는 답변이 37.7%로 나타났다. 이처럼 반려동물 의료지원을 통해 동물복지와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함께 높이고 있다. □ 특히 올해는 사업에 참여하는 동물병원이 2024년 113개소에서 134개소로 늘어나 취약계층 반려동물의 의료지원 접근성이 보다 향상되었다. 보호자가 기본적으로 부담하는 비용을 제외한 금액은 시·자치구 및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의 재능기부로 지원된다.    ○ ‘우리동네 동물병원’에 참여하는 동물병원은 ’22년 68개소, ’23년 92개소, ’24년 113개소로 꾸준히 확대되어, 이용대상자가 가까운 동물병원에 진료를 쉽게 받을 수 있게 되었다. □ 개 또는 고양이를 기르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이 반려동물과 함께 ‘우리동네 동물병원’에 방문하면 진료받을 수 있으며, 반려견·반려묘 모두 ‘동물등록’ 되어있어야 한다. 미등록 반려동물은 동물등록 후 지원받을 수 있다.    ○ 수급자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확인서, 한부모가족 증명서 등 취약계층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3개월 이내 발급)를 지참하여 ‘우리동네 동물병원’ 방문 시 제시하면 된다.    ○ 고양이의 경우, 동물등록 의무 대상은 아니지만 ’22년 고양이 동물등록 시범사업이 전국 확대 시행된 이후 유실 방지를 위해 등록을 권장하고 있다. □ 지원 항목은 ▲필수진료(기초건강검진, 필수 예방접종, 심장사상충 예방약)와 ▲선택진료(기초건강검진 중 발견된 질병 치료, 중성화수술)로 동물보호자는 필수진료는 1회당 진찰료 5천 원(최대 1만 원), 선택진료는 2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만 부담하면 된다.    ○ ‘필수진료’ 항목은 30만 원 상당으로 그 중 10만원은 동물병원 재능기부, 나머지 20만 원은 서울시와 자치구가 지원한다.    ○ ‘선택진료’는 필수진료 시 발견된 질병치료 및 중성화수술에 한해 필요할 경우 지원되며 20만 원까지 서울시와 자치구가 지원한다.(선택진료 비용의 20만 원 초과분은 보호자 부담) □ ‘우리동네 동물병원’ 반려동물 진료비 지원은 서울특별시 누리집(https://news.seoul.go.kr/env/archives/561530) 또는 ☎120다산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우리동네 동물병원’은 단순한 동물의료지원을 넘어,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건강한 유대를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복지 사업”이라며 “취약계층이 소중한 반려동물과 함께 안정적인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서적 교감을 지원하는 정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 「더 아름다운 결혼식」서울시 공공예식장 상담·신청 안내(신규 장소 추가)
    등록일 2025-02-21 글쓴이 seoulsolution
     👉 「더 아름다운 결혼식」바로가기 서울시에서는 결혼식 예약난을 해소하고, 개성있고 의미있는 결혼식을 종합적으로 지원하여 건강한 결혼식 문화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서울시와 함께 결혼식을 만들어갈 (예비)부부를 모집합니다. ♣ 운영유형     - 예식장소별 업체 지정운영(56곳) : 기존 20개소 + 신규 36개소(자세한 장소는 홈페이지 참조)  - 이용자율선택형 장소 지정 운영(5곳) : 초안산 하늘꽃정원, 불암산 힐링타운 철쭉동산, 솔밭근린공원, 문화비축기지 T2(야외무대), 서울여성플라자(국제회의장) ♣ 신청자격 서울시 거주자 또는 생활권자(서울 소재 직장인, 재학생 포함)인 예비부부, 예비부부의 부 또는 모가 서울시 거주자 '더 아름다운 결혼식'의 취지를 이해하고, 준수사항을 잘 이행할 수 있는 시민 (결혼장려금 지원) 예비부부 중 한명이라도 공공예식장 신청일부터 예식 당일까지 서울시 거주 사실이 인정되는 경우 비품비 최대 100만원 지원 ♣ 신청기간 기존장소 2025년 예식 신청 2024.2.20. ~ 상시모집 기존장소 2026년 예식 신청 2025.2.26 ~ 상시모집 신규장소 2025~2026년 예식 신청 2025.7.1.(화) 오후 2시부터 예약상담 가능   ♣ 신청방법 상담사와 사전상담 (유선 1899-2154 또는 사이트 내 온라인 상담신청) 후 예식공간 별 결혼전문업체와 종합상담을 통해 계약 ♣ 신청 시 제출서류 (결혼전문업체 종합상담 후, 진행 확정 시 업체를 통해 아래의 서류를 제출합니다.) 결혼식 신청서 및 동의서 각 1부  | 신청서 다운로드 (PDF) ] 주민등록초본 또는 재직(재학)증명서 등 제출 서류는 계약 체결 시 결혼전문업체를 통해 제출 ♣ 확정 안내 및 협조사항 최종 확정 승인은 서울시에서 개별적으로 문자 통보로 안내 결혼식 만족도 조사참여(만족도 조사에 참여한 커플만 비품비 지원 가능) 및 후기작성 행복한 가정을 위한 서울시가족센터의 각종 프로그램 참여 권장 ♣ 유의사항 공간에 따라 여건이 상이하므로 사전상담 및 결혼전문업체와 충분한 상담 후 신청 (공간제공 시설/기관에서는 관련 상담을 하지 않습니다.) 신청일 중복 시 신청 순서에 따라 결혼전문업체와 종합상담이 제공됨(공공예식장 중복 계약시, 중복 계약건에 대해 모두 취소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간 확인 등 장소 방문 시 대중교통 이용(주차비 미지원) 예식 운영일정은 예식공간 상황 및 상담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음 ♣ 관련문의 더 아름다운 결혼식장 상담센터 1899-2154 「더 아름다운 결혼식」 온라인 상담 더 아름다운 결혼식
  • ‘찾아가는 신재생에너지 맞춤형 컨설팅’ 실시…연중 수시 모집
    등록일 2025-02-11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는 도시에 적합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통해 탄소 중립 도시 실현을 구현하고자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계획 단계부터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지원해 주는 맞춤형 무료 컨설팅 진행한다. □ 신재생에너지 컨설팅은 지열·수열,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설치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장의 고민을 해소하는 한편, 설비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을 유도하고자 마련됐다. □ 컨설팅에 대한 현장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2024년의 경우 당초 목표치 대비 120% 초과한 53건의 컨설팅을 완료하였고, 현장에서 진행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설치·운영 등 전반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됨에 따라 참여 기관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24년 컨설팅 후기 > • (000 빌딩) 폐공으로 운영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컨설팅을 통해 현황 진단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해 주어 설비 운영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 (관악복합관사)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싶어 의뢰하게 되었는데, 컨설팅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해 주셔서 설비운영 및 관리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찾아가는 신재생에너지 맞춤형 컨설팅’은 연중 상시 접수를 받고 있으며, 신청 접수 건에 대해 분야별 자문단이 현장 컨설팅을 진행한다. 주요 분야는 ▲설치부지, 공법, 지원제도 등에 대한 계획수립 ▲현장조사를 통한 설계 ▲시공(시공 시 주의사항, 기계실 배관 등) ▲유지 관리 등이며, 복수 신청도 가능하다.    ○ 컨설팅 일정은 신청기관의 컨설팅 희망 시기, 사업 추진 일정 등을 감안하여 개별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 모집대상은 신재생에너지 설비 운영 중 또는 설치 예정인 공공·민간 시설이며, ‘서울시에너지정보누리집(https://energyinfo.seoul.go.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에너지정보 누리집을 참고하거나 서울시 기후환경본부 녹색에너지과(☎02-2133-3566)로 문의하면 된다. □ 정순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자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여러 가지 애로사항으로 보급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발간물 & 연구보고서

  • 서울연구원 영문 홍보브로슈어(SI Brochure - English)
    등록일 2024-12-17 글쓴이 seoulsolution
    Founded in 1992, with funds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as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and renamed the Seoul Institute (SI) in 2012, the institute is a research organization based in Seoul and focuses on comprehensive urban policy. The SI’s research spans a wide array of areas, including urban planning & design, transportation, the environment, energy, administration & local f inance, economic & industrial development, welfare, culture, urban information, and safety·disaster preparedness. We have produced high-quality, evidence-based public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municipality of Seoul. With a vast pool of research talent, we are committed to carrying out ground-breaking research in myriad fields and identify a future vision and policy agenda for the city. Moreover, we will continue to improve the SMG’s ability to proactively navigate risks and opportunities by influencing its policy and decision-making through pioneering, fact based research and analysis.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
    등록일 2025-07-01 글쓴이 seoulsolution
    □ 서울시는 2025년 하반기에 새롭게 시행되거나 확대되는 사업, 개관을 앞둔 공공시설 등 시민 생활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를 한데 모은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 생활」을 7월 1일(화) 전자책(eBook)으로 발간했습니다.     ○ 전자책(eBook)은 서울시 누리집(seoul.go.kr)과 ‘정보소통광장(opengov.seoul.go.kr)’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서울시 대표 소통포털 ‘내 손안에 서울(mediahub.seoul.go.kr)’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전자책(eBook) https://ebook.seoul.go.kr/Viewer/2E08LF73HJBR       - 자료(pdf)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    □ 「2025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은 서울시의 핵심과제인 규제개선 외에도 시민에게 힘이 되는 지원 사업 및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의 변화, 시설 개관 등 5개 분야 총 39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규제철폐 ② 시민 지원 12건(기후동행카드 서비스 확대, 중소기업 지원 확대 등)     ③ 시민 생활 9건(한강버스 정식 운항, 터널 ‘표준형 안전디자인’ 개발·확산 등)     ④ 시설 개관 13건(여의도 유람선터미널 개관, 수변활력거점 개소 등) ⑤ 행사·축제 4건
  • 서울연구원 국문 홍보브로슈어(SI Brochure - Korean)
    등록일 2024-09-05 글쓴이 seoulsolution
    서울연구원은 1992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으로 출범한 서울시 출연의 종합 도시정책연구기관입니다. 우리 연구원은 도시계획·설계, 교통, 환경, 에너지, 행·재정, 산업경제, 사회복지, 문화, 도시정보, 안전·방재 등 서울시정 전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정책을 제시해왔습니다. 확대된 융복합 연구인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를 수행하고 미래 시정 비전과 정책 의제를 발굴하겠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와 정책을 신속하게 제안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도시 환경 속에서 서울이 선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습니다.
  • 2024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
    등록일 2024-07-01 글쓴이 seoulsolution
    서울시가 7월 1일 새롭게 시행되는 사업, 개관을 앞둔 공공시설, 시민 생활과 밀접한 제도와 같이 미리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를 담은 ”2024 하반기 달라지는 서울생활“을 발간했습니다. 2024 달라지는 서울생활은 서울의 슬로건인 ”동행·매력 특별시“ 하에 시행될 예정인 12개 분야 36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동행특별시 18건: 돌봄 2건, 건강 2건, 복지 3건, 교육 4건, 안전 2건, 환경 3건, 행정 2건 2. 매력특별시 18건: 경제 4건, 문화관광 5건, 교통 2건, 디자인 2건, 행사축제 5건
  • CITYNET 로고이미지
  • ICLEI 로고이미지
  • UNHABITAT 로고이미지
  • WEGOV 로고이미지
  • WORLDBANK 로고이미지
  • KOICA 로고이미지
  • KOTRA 로고이미지
  • 서울시청의 로고
  • K-Developedia 로고 이미지
  • MITI –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The main mission of the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MITI) is to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and professional capacities of local and metropolitan authorities and their leaders for better public governance.

The Metropolis International Training Institute (MITI) is the training and learning center of Metropolis, established in 1996.Today, MITI counts on headquarters located in Seoul, and four regional centers: Cairo, Mashhad, Mexico City and Paris (Île-de-France). Formerly located in Montreal, the headquarters have been transferred to Seoul after a decision taken at the Metropolis Board of Directors’ meeting in Guangzhou, in 2012.

With its relaunch in Seoul, MITI enters a new era of knowledge dissemination, with the boosted activation of its regional centers. MITI will spare no efforts to operate training programs in line with other Metropolis activities, for all members of the Association, and also for its institutional partners and affiliated cities.
  • Metropolis 로고이미지
  • World Cities Summit 로고이미지
  • CLC 로고이미지
  • 해외건설협회 로고이미지
  • ADB 로고이미지
  • 기재부 로고이미지
  • 외교부 로고이미지
  • 수출입은행 로고이미지
  • 금융투자협회 로고이미지
  • KDI 로고이미지
  • 대한상공회의소 로고이미지
  • 중소기업중앙회 로고이미지
  • 대한국토 로고이미지
  • KOSMIC 로고이미지
  • 서울시립대
  • metta
  • 국토연구원
  • UN SDG 온라인플랫폼
  •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은?

시간, 공간, 재능, 물건, 정보 등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쓰지 않고 놀리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이웃과 공동체 의식도 형성하고, 환경에도 이로운 활동인 '공유'가 활성화된 도시입니다.

'공유도시 서울' 정책을 추진하게 된 이유는?

복지, 환경, 일자리 등에서 사회적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한정된 예산과 자원으로 이를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공동체 의식이 실종되었고, 과잉소비에 따른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결이 어려운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을 '공유'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완화시켜 나가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