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적과 인구규모 Area and Population Size
2010년 면적은 런던(1,572㎢), 베이징(1,368㎢), 뉴욕(784㎢), 싱가포르(712㎢), 도쿄(622㎢), 서울(605㎢), 파리(105㎢) 순이며, 서울의 면적은 다른 6개 도시와 비교했을 때 프랑스를 제외하고 가장 작았다. 그러나 면적당 인구를 비교하면 서울의 인구밀도가 16,181명/㎢로 베이징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2000년과 2010년 사이 서울의 인구는 다른 6개 모든 도시와 다르게 감소하고 있다.
대도시권의 지난 10년간 인구는 모든 도시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대도시권의 인구는 10년 동안 44.5%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다음으로 서울대도시권의 인구가 11.6% 증가하였다. 서울대도시권의 인구는 2,384만 명으로 도쿄대도시권 다음으로 높으며, 인구밀도도 도쿄(2,627명/㎢) 다음으로 서울(2,017명/㎢)이 두 번째로 높다. 싱가포르는 도시국가이므로 대도시권 비교에서 제외하였다.
주
|
- 도시별 중심도시와 대도시권 인구는 2000년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파리는 2000년 대신 1999년, 런던은 2000년과 2010년 대신 2001년과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런던을 포함한 영국의 The UK Census는 2001년, 2011년에 실시함
- 서울과 뉴욕의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임
- 서울, 뉴욕, 도쿄의 인구는 인구센서스에 기반한 자료임
- 중국행정구획총람에 따르면 둥청구(东城区)는 2010년 7월 충원구(崇文区)를, 시청구(西城区)는 쉬안우구(宣武区)를 흡수합병해 현재 베이징 중심도시인 성육구(城六区)의 모습을 갖춤. 베이징 통계 산출 시 2000년은 东0城区, 崇文区, 西城区, 宣武区, 차오양구(朝阳区), 펑타이 구(丰台区), 스징산구(石景山区), 하이뎬구(海淀区) 8개 구의 지표를 합하고, 2010년은 东城区, 西城区, 朝阳区, 丰台区, 石景山区, 海淀区로 이뤄진 城六区의 지표를 합함
- 베이징의 인구총조사는 전체 도시지역 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보유한 인구를 대상으로 실시 함. 상주인구는 실제 해당지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나타내며, 법적인 호적인구와는 차이가 있음
- 싱가포르의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와 비거주권자(non-residents)의 합인 총인구(total population) 지표를 사용함
- residents는 시민권자(citizens)와 영주권자(permenant residents)를 포함해 지칭함
- non-residents는 영주권 없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함
- 파리의 인구는 시 인구(population municipale) 지표를 사용함
- 파리의 총인구는 population municipale과 기타 인구(population copmtee a part)로 구성되나, 총 인구는 통계자료로 사용하지 않음. population municipale은 주 거주지 거주자 인구로 교도소 내 인구, 노숙자 모두를 포함함. population copmtee a part는 학업을 위해 학교에 기숙하는 미성년자, 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 등 행정상으로 본 거주지가 있으나 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를 뜻함
- 도시별 중심도시와 대도시권 면적(행정구역)은 2000년,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베이징은 2010년 대신 2008년, 파리는 2012년 수치를 사용함.(런던 대도시권 면적은 주13)을 참고)
- 베이징시의 면적은 현재 전국제2차토지조사(全国第二次土地调查) 결과가 정식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2013년까지 2008년 기준으로 작성함
- 싱가포르의 면적은 섬 면적을 포함함
- 뉴욕의 면적은 강과 바다를 제외한 육지의 면적만 포함함
- 런던 면적은 테임즈강 등을 제외한 육지의 면적만 포함함
- 런던 대도시권 2010년 면적은 2009년 자료를 사용함
- 런던 대도시권의 가장 최근 공식자료는 2011년 출간물이며, 출간물 내 면적 수치는 2009년 값을 사용하고 있음
|
자료
|
서울 |
- 【인구】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인구·가구 및 주택-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면적】
- 건설교통부, 2000, 건설교통통계연보 2000 ; 2000년 기준
- 국토해양부, 2010, 1-1.행정구역현황(전국), 국토해양통계연보 2010 ; 2010년 기준
|
도쿄 |
- 【인구】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면적】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 22年国勢調D査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인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면적】
- 北京市统计局, 2001, 1-1 土地面积, 北京统计年鉴 2001 ; 2000년 기준
- 北京市统计局, 2013, 4-15 土地面积及利用状况(2008年), 北京统计年鉴 2013 ; 2008년 기준
|
싱가포르 |
- 【인구】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Population Trends 2014, p.37 ; 2000년·2010년 기준
- 【면적】 Singapore Land Authority , Total Land Area of Sigapore ; 2000년·2010년 기준
|
뉴욕 |
- 【인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00 Census Summary File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1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CPH-T-2. Population Change for Metropolitan and Micropolitan Statistical Areas in the United States and Puerto Rico: 2000 to 2010 ; 2000년· 2010년 기준
- 【면적】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00 Census Summary File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1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New York-Northern New Jersey-Long Island, NY-NJ-PA Metro Area ; 2010년 기준
|
런던 |
- 【인구】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É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면적】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2, Annual Abstract of Statistics, p.5 ; 2000년 기준
- Greater London Authority, 2015, Population Density(GLA estimates/projections),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 2010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1, 1.1 Area of the United Kingdom, Annual Abstract of Statistics ; 2009년 기준
|
파리 |
- 【인구】
- INSE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1999 Populations Légal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áCompter du 1er Janvier 2013, pp.75-1~75-2 ; 2010년 기준
- INSEE, ÉSvolution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14, Estimations de Population, ÉStat Civil(Donnétes Domiciliét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 Selon le Sexe et l’ăge au 1er Janvier 2010 ; 2010년 기준
- 【면적】 INSEE, Circonscriptions Administratives au 1er Janvier 2015, RP 2012; Code Officiel géographique ; 2012년 기준
|
|
인구성장 추이 Trend of Population Growth
1920년대 초반 서울의 인구는 25만 명이었고 1940년대의 100만 명에서 1990년에 1,061만 명으로 50년 만에 급성장함으로써, 1920년대에 이미 300만~800만 명에 이르렀던 런던, 뉴욕, 도쿄, 파리 등에 비해서는 도시관리가 상당히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베이징도 1980년 515만 명에서 2010년 1,172만 명으로 급증하고 있고 이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아 선진 도시들의 사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특히, 서울은 1990년대 이후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데, 버블경제 이후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도쿄와 1980년대 이후에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뉴욕과 런던은 인구가 증가한 이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주
|
- 인구성장 추이는 1911~2010년간을 기준으로 하되, 서울은 1915~2010년, 도쿄는 1920~2010년, 베이징은 1980~2010년, 런던은 1911~2011년간의 변화를 봄
- 서울은 1915~1955년은 서울통계연보자료(서울시)의 주민등록인구 자료를, 1960~2010년은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자료를 사용함
- 베이징의 2000년과 2010년 인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제5·6차인구총조사의 추산값을 적용했으며, 그 외 연도는 베이징통계연감(北京统計年鑑) 값을 사용함. 1980~1981년 수치는 호적인구 수, 임시거주인구를 포함함. 1982~1989년 수치는 1982년과 1990년 인구총조사 수치에 근거해 조정한 값임. 1990년 이후의 수치는 인구변동상황을 표본조사 해 추산한 값이며, 그 중 1995년 과 2005년은 1% 인구표본조사 추산값을 사용함
- 싱가포르의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와 비거주권자(non-residents)의 합인 총인구(total population) 지표를 사용함
- residents는 시민권자(citizens)와 영주권자(permenant residents)를 포함해 지칭함
- non-residents는 영주권 없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함
- 뉴욕의 1900~1990년 인구는 Population of the 100 Largest Cities and Other Urban Places in the United States(United States Census Bureau)를, 2000년과 2010년은 Census Summary File(United States Census Bureau)을 사용함
- 파리의 2010년 인구는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àCompter du 1er Janvier 2013(INSEE)를 사용했으며, 그 이전 연도의 인구는 파리 시청 통계자료를 사용함
|
자료
|
서울 |
- 서울시, 2014, 1.인구추이, 제 54회 서울통계연보 ; 1915~1955년 기준
- 서울통계, 인구추이(인구센서스) ; 1960~2010년 기준
|
도쿄 |
- 東京都, 2-3 地域別人口,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1920~2010년 기준
|
베이징 |
- 北京市统计局, 北京统计年鉴(1980, 1986, 1991, 1996, 2006 ; 1979년·1985년·1990년·1995년·2005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Population Trends 2014, p.37 ; 1911~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1998, Population of the 100 Largest Cites and Other Urban Places in the United States: 1790 to 1990 ; 1900~199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00 Census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2011 Census: Historical Population ; 1901~2011년 기준
|
파리 |
|
|
인구밀도 Population Density
구별 인구분포 Population Density by District
구별 인구의 분포는 도시의 어느 지역에서 인구가 증가하였고 어느 지역에서 감소하였는지를 보는 데 유효하다. 그림에서 구별 인구의 분포를 보면 파리, 런던, 서울, 도쿄, 싱가포르에 이르기까지 10만 명 이하~100만 명 이하의 인구를 가진 구가 분포하는 도시들과 베이징과 뉴욕처럼 주로 100만 명~400만 명 이하로 구분한 도시가 있어 단순비교는 어렵다.
다만, 개략적으로 비교한 결과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구들은 업무와 상업기능이 많이 입지하고 공간이 작아 상주인구도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한다. 그러나 도시 외곽에 분포한 구들은 주거기능을 위주로 입지하고 면적상 크게 구분하여 상주인구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
- 서울과 뉴욕의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임
- 베이징의 인구총조사는 전체 도시지역 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보유한 인구를 범위로 함. 상주인구는 실제 해당지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나타내며, 법적인 호적인구와 는 차이가 있음
- 싱가포르 인구센서스의 지역별 인구는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에 한하므로 외국인을 제외함
- 싱가포르는 별도의 행정구역이 따로 있지 않고 Central, West, North, North-East, East의 5개 District로 구분함. 인구가 너무 적거나 5개의 District에 포함되지 않는 지역에 사는 인구는 따로 합산해 기타(Others)로 분류하였으나, 지도에는 표기하지 않음
- 파리의 인구는 시 인구(population municipale) 지표를 사용함
- 파리의 총인구는 population municipale과 기타 인구(population copmtee a part)로 구성되나, 총 인구는 통계자료로 사용하지 않음. population municipale은 주 거주지 거주자 인구로 교도소 내 인구, 노숙자 모두를 포함함. population copmtee a part는 학업을 위해 학교에 기숙하는 미성년자, 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 등 행정상으로 본 거주지가 있으나 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를 뜻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00년·2010년 기준
|
도쿄 |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DGP Zone/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Planning Area/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Table PL-P1 NYC, 2000 and 2010 Census Public Law 94-171 Redistricting Files ; 2000년·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1999 Populations Légal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áCompter du 1er janvier 2013,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 2010년 기준
|
|
구별 인구증감률 Population Change Rate by District
구별 인구증감률은 대체적으로 인구가 도심에서 증가했는지, 아니면 외곽에서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다. 특히, 외곽에서의 신개발이 많이 전개되었는지, 인구가 도심으로 회귀했는지를 구별 인구증감률로 추측할 수 있다. 서울 중심도시의 인구증감률을 보면, 강북에 위치한 자치구들의 인구가 주로 감소하고 있어 지역균형발전 등의 정책을 면밀히 검토하여 인구의 추출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6개 도시는 대체적으로 구별 인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도시의 구별 또는 도시별 인구정책, 그 밖의 다른 여건이 어떠한지 함께 파악할 필요가 있다. 반대로 인구가 감소한 자치구의 인구유출 원인도 함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
|
- 인구증감률(%)=(2010년 인구-2000년 인구)/2000년 인구×100
- 구별 인구증감률은 2000년에서 2010년까지 10년간 증감률을 기준으로 하되, 파리는 2000년 대신 1999년 수치를 사용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00년·2010년 기준
|
도쿄 |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DGP Zone/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Planning Area/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Table PL-P1 NYC, 2000 and 2010 Census Public Law 94-171 Redistricting Files ; 2000년·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1999 Populations Légal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áCompter du 1er janvier 2013,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 2010년 기준
|
|
구별 인구밀도 Population Density by District
구별 인구밀도는 토지를 얼마나 집약적으로 이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대체로 도심에 가까울수록 밀도가 높다. 여기에서도 베이징, 뉴욕, 런던, 파리 등은 도시 중심부에서 인구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세부적으로 구별 인구밀도는 파리, 서울, 도쿄, 뉴욕, 런던, 베이징, 런던, 싱가포르 순으로 높으며, 파리 대부분의 구가 2만 명/㎢ 이상의 밀도로 분포되어 있다.
서울과 도쿄, 베이징, 뉴욕은 1~5개 구의 밀도가 2만 명/㎢ 이상이다. 여기에서 파리의 인구밀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파리는 층수규제를 강하게 적용하는 도시로 유명하나, 인구밀도는 타 도시들에 비해 높다.
따라서 파리의 밀도관리 정책, 도시공간의 구성과 더불어 시민의 커뮤니티 시설 공급 등도 세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주
|
- 인구밀도(명/㎢)=인구/행정구역면적
- 구별 인구밀도는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런던은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런던을 포함한 영국의 The UK Census는 2011년에 실시됐으므로 인구가 조사된 해당연도와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면적도 2011년 값을 사용함
- 싱가포르와 파리의 구별 인구밀도는 2010년을 기준으로 하나, 구별 면적은 위키피디아에서 최종 수정된 시점의 수치임. 두 도시의 구별 면적은 위키피디아의 자료를 근거로 하며, 각각 2016 년 10월 5일, 2016년 6월 8일자에 최종 수정함
- 서울과 뉴욕의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임
- 베이징시의 면적은 현재 전국제2차토지조사(全国第二次土地调查) 결과가 정식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2013년까지 2008년 기준으로 작성함
- 베이징의 인구총조사는 전체 도시지역 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보유한 인구를 대상으로 실시 함. 상주인구는 실제 해당지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나타내며, 법적인 호적인구와는 차이가 있음
- 싱가포르의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와 비거주권자(non-residents)의 합인 총인구(total population) 지표를 사용함
- residents는 시민권자(citizens)와 영주권자(permenant residents)를 포함해 지칭함
- non-residents는 영주권 없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함
- 파리의 인구는 시 인구(population municipale) 지표를 사용함
- 파리의 총인구는 population municipale과 기타 인구(population copmtee a part)로 구성되나, 총 인구는 통계자료로 사용하지 않음. population municipale은 주 거주지 거주자 인구로 교도소 내 인구, 노숙자 모두를 포함함. population copmtee a part는 학업을 위해 학교에 기숙하는 미성년자, 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 등 행정상으로 본 거주지가 있으나 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를 뜻함
- 뉴욕시에는 5개의 Borough가 존재함. 미국의 행정구역체계상 County가 Borough보다 상위 행정구역이나, 뉴욕시의 경우 동일한 경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County 수치를 사용함. Bronx는 Bronx, Brooklyn은 Kings, Manhattan은 New York, Queens는, Queens, Staten Island는 Richmond 수치를 사용함
- 파리의 paris 12er Arrondissement 면적은 삼림공원인 뱅센 숲(Bois de Vincennes)을 포함했으며, paris 16er Arrondissement 면적은 불로뉴 숲(Bois de Boulogne)을 포함함
|
자료
|
서울 |
- 【구별 인구】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00년·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국토해양부, 2010, 1-2.행정구역현황(서울특별시), 국토해양통계연보 2010 ; 2010년 기준
|
도쿄 |
- 【구별 인구】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平成22),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구별 인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 中华人民共和国 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北京市统计局, 2013, 4-15土地面积及利用状况(2008年), 北京统计年鉴 2013 ; 2008년 기준
|
싱가포르 |
- 【구별 인구】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DGP Zone/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Table A1.2 Singapore Residents by Planning Area/ Subzone, Age Group and Sex, June 2010 ; 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
뉴욕 |
- 【구별 인구】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Table PL-P1 NYC, 2000 and 2010 Census Public Law 94-171 Redistricting Files ; 2000년·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Table PL-P1 NYC, 2000 and 2010 Census Public Law 94-171 Redistricting Files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CT-PH1: Population, Housing Units, Area, and Density,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구별 인구】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구별 면적】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5, Estimated Resident Population Mid-Year, Mid-Year Estimates ; 2011년 기준
|
파리 |
- 【구별 인구】
- INSE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1999 Populations Légal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áCompter du 1er janvier 2013,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 2010년 기준
- 【구별 면적】
|
|
인구 및 면적집중도 Concentration Ratio of Population and Area
도시의 집중도는 특정 도시의 인구나 도시기능이 전국이나 일정 권역에 비해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미국이나 중국과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진 나라는 특정 도시에서의 집중도가 낮게 나타날 수밖에 없고, 서울 등 작은 나라 종주도시 등에서 높게 나타날 수 있다.
2010년 전국 대비 서울의 인구집중도는 20.2%로, 5개 도시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이 전국 대비 면적이 0.6%에 불과한 현실을 반영하면 더욱더 그러하다. 다음은 런던이 12.9%로 높고 도쿄 (7.0%), 파리(3.5%), 뉴욕 (2.6%), 베이징 (0.9%) 순으로 높다.
대도시권 대비 중심도시의 인구집중도를 보면, 서울보다 베이징의 집중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대도시권 대비 면적은 베이징 8.3%, 런던 5.8%, 서울 5.1%, 도쿄 4.6%, 뉴욕 4.5%, 파리 0.9% 순이며, 인구집중도는 베이징 59.7%, 뉴욕 43.3%, 서울 41.1%, 런던 40.3%, 도쿄 25.1%, 파리 19.0% 순이다. 이를 통해 대도시권에서 중심도시의 면적 비중이 인구의 집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
|
- 전국 대비 중심도시 인구집중도(%)=중심도시 인구/전국 인구×100
- 전국 대비 중심도시 면적집중도(%)=중심도시 행정구역면적/전국 행정구역면적×100
- 대도시권 대비 중심도시 인구집중도(%)=중심도시 인구/대도시권 인구×100
- 대도시권 대비 중심도시 면적집중도(%)=중심도시 행정구역면적/대도시권 행정구역면적×100
- 전국 대비 중심도시 면적상 인구집중도(%)=전국 대비 중심도시 인구집중도/전국 대비 중심도시 면적집중도×100
- 전국 대비 대도시권 면적상 인구집중도(%)=전국 대비 대도시권 인구집중도/전국 대비 대도시권 면적집중도×100
- 도시별 중심도시와 대도시권 인구는 2000년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파리는 2000년 대신 1999년, 런던은 2000년과 2010년 대신 2001년과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런던을 포함한 영국의 The UK Census는 2001년, 2011년에 실시함
- 베이징의 인구총조사는 전체 도시지역 내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보유한 인구를 대상으로 실시 함. 상주인구는 실제 해당지역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인구를 나타내며, 법적인 호적인구와는 차이가 있음
- 싱가포르의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와 비거주권자(non-residents)의 합인 총인구(total population) 지표를 사용함
- residents는 시민권자(citizens)와 영주권자(permenant residents)를 포함해 지칭함
- non-residents는 영주권 없이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포함함
- 파리의 인구는 시 인구(population municipale) 지표를 사용함
- 파리의 총인구는 population municipale과 기타 인구(population copmtee a part)로 구성되나, 총 인구는 통계자료로 사용하지 않음. population municipale은 주 거주지 거주자 인구로 교도소 내 인구, 노숙자 모두를 포함함. population copmtee a part는 학업을 위해 학교에 기숙하는 미성년자, 양로원에 거주하는 노인 등 행정상으로 본 거주지가 있으나 타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를 뜻함
- 2001년 영국 전국 인구는 잉글랜드와 웨일스(England and Wales), 스코틀랜드(Scotland), 북아일랜드(Northern Ireland)의 개별 센서스 자료에서 인구 지표를 합한 수치임
- 베이징시의 면적은 현재 전국제2차토지조사(全国第二次土地调查) 결과가 정식 발표되지 않았으므로, 2013년까지 2008년 기준으로 작성함
- 뉴욕의 면적은 강과 바다를 제외한 육지의 면적만 포함함
- 서울과 뉴욕의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임
|
자료
|
서울 |
- 【도시별 인구】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인구·가구 및 주택,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인구·가구 및 주택-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 건설교통부, 2000, 건설교통통계연보 2000 ; 2000년 기준
- 국토해양부, 2010, 1-1.행정구역현황(전국), 국토해양통계연보 2010 ; 2010년 기준
|
도쿄 |
- 【도시별 인구】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22年国勢調査 ; 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12年) ; 2000년 기준
- 総務省統計局, 都道府県·市区町村別主要統計表(平成22年), 平成 22年国勢調D査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전국 면적】
- 中华人民共和国 國家統計局, 1-4土地状况, 2001年度数据, 中国统计年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 國家統計局, 12-2土地状况, 2011年度数据, 中国统计年鉴 ; 2010년 기준
- 【도시별 인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 北京市统计局, 2001, 1-1 土地面积, 北京统计年鉴 2001 ; 2000년 기준
- 北京市统计局, 2013, 4-15 土地面积及利用状况(2008年), 北京统计年鉴 2013 ; 2008년 기준
|
싱가포르 |
- 【도시별 인구】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Population Trends 2014, p.37 ; 2000년·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Singapore Land Authority , Total Land Area of Sigapore ; 2000년·2010년 기준
|
뉴욕 |
- 【전국 인구】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2000 to 2010 ; 2000년·2010년 기준
- 【전국 면적】
- 【도시별 인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00 Census Summary File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1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 CPH-T-2. Population Change for Metropolitan and Micropolitan Statistical Areas in the United States and Puerto Rico: 2000 to 2010 ; 2000년· 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00 Census Summary File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 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1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New York-Northern New Jersey-Long Island, NY-NJ-PA Metro Area ; 2010년 기준
|
런던 |
- 【전국 인구】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National Records of Scotland, 2012, Figure 1 Census Day Population by Age, Statistical Bulletin-Release 1A ; 2001년 기준
- NISRA, 2002, Table P1, Northern Ireland Census 2001 Population Report and Mid-Year Estimates Report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3, Table PP01UK, 2011 Census ; 2011년 기준
- 【도시별 인구】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3, Table KS01 Usual Resident Population, 2001 Censu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É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도시별 면적】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2, Annual Abstract of Statistics, p.5 ; 2000년 기준
- Greater London Authority, 2015, Population Density(GLA estimates/projections), Land Area and Population Density ; 2010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1, 1.1 Area of the United Kingdom, Annual Abstract of Statistics ; 2009년 기준
|
파리 |
- 【도시별 인구】
- INSE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1999 Populations Légal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s Légales en Vigueur áCompter du 1er Janvier 2013, pp.75-1~75-2 ; 2010년 기준
- INSEE, ÉSvolution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14, Estimations de Population, ÉStat Civil(Donnétes Domiciliétes) ; 1999년 기준
- INSEE, Population Selon le Sexe et l’ăge au 1er Janvier 2010 ; 2010년 기준
- 【도시별 면적】 INSEE, Circonscriptions Administratives au 1er Janvier 2015, RP 2012; Code Officiel géographique ; 2012년 기준
|
|
인구피라미드 Population Pyramid
인구피라미드는 그 도시의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의 분포를 보여준다. 먼저 서울의 변화를 보면, 중심도시의 인구는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남녀를 막론하고 55세~85세의 고령인구가 폭넓게 증가하고 있다. 14세 미만의 유소년층, 15세~29세의 청년층은 감소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도쿄는 유소년층이 유지되고 있다.
런던과 파리, 뉴욕의 인구구조는 아시아권의 도시들에 비해 안정적이다. 런던과 파리의 경우 19세 이하의 청소년층과 아동층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 특히, 런던의 경우 유아층(0~4세)이 증가하고 있어 그들의 출산장려 정책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런던과 뉴욕을 보면 청장년층(20~49세)의 생산가능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주
|
- 서울은 외국인을 제외하였으나, 뉴욕은 외국인을 포함한 수치임
- 도쿄는 2000년에 42,420명, 2010년에 165,622명이 연령 미상으로 인구 피라미드에서 제외함
- 싱가포르는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만으로 이뤄진 거주권자(residents) 지표를 사용함(외국인 제외)
|
자료
|
서울 |
- 서울: 통계청, 행정구역/연령/성별 총조사인구,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연령 및 성별 인구-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2,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2,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QT-P1-Age Groups and Sex: 2000,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Age Groups and Sex: 2010, Census 2010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2, Table P5, Census 2001 First Results on Population for England and Wale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PP04,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England and Wales-Unrounded Figures for the Data Published ; 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2015,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Âge Quinquennal ; 2000년·2010년 기준
|
|
연령별 인구구조와 합계출산율 Population Structure by Age and Total Fertility Rate
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유소년 인구비율은 파리를 제외한 모든 도시가 지난 10년간 감소하고 있으며, 노년인구의 비율은 파리와 런던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쿄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파리는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서울은 다른 비교도시에 비해 노년인구의 비율이 낮지만 지난 10년간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합계출산율은 “여자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로 정의된다. 뉴욕과 베이징은 공간설정 기준이 다르고, 런던의 비교연도 기준이 달라, 도시 간 단순비교에 무리가 따르지만, 2010년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을 비교해 보면 런던이 1.83명으로 가장 높고, 그 밖에 뉴욕, 파리가 1.5명 이상이다. 베이징은 최근까지 한 자녀 정책을 펼치고 있었으므로, 서울이 1.02명으로 가장 낮다.
구미권의 도시들은 아시아권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아시아권 도시들은 1명 안팎의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구미권과 아시아권의 차이를 정책을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중, 도쿄는 낮은 수치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 비해 증가율이 높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베이징은, 최근 가구당 두 자녀 정책을 전면적으로 실시하여 앞으로 얼마나 개선될 것인가가 주목된다.
주
|
- 연령별 인구는 유소년인구를 만 14세 이하, 청장년인구를 만 15~64세, 노년인구를 만 65세 이 상의 인구로 각각 정의함
- 유소년인구 비율과 노인인구 비율은 연령별 인구구조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함
- 유소년인구 비율(%)=만 14세 이하 인구/전체인구×100, 노인인구 비율(%)=만 65세 이상 인 구/전체인구×100
- 합계출산율(TFR: Total Fertility Rate)은 통계청, 통계표준용어에 따라 출산 가능한 여성의 나이 인 만 15세부터 49세까지를 기준으로, 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 아 수이며,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국제지표임
- 뉴욕의 합계출산율은 뉴욕주를 기준으로 함
|
자료
|
서울 |
- 【인구】
- 통계청, 행정구역/연령/성별 총조사인구,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연령 및 성별 인구-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합계출산율】 통계청, 시군구/합계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 인구동향조사 ; 2000년 기준
|
도쿄 |
- 【인구】
- 【합계출산율】 東京都福祉保健局, 合計特殊出生率 ; 2000년·2010년 기준
|
베이징 |
- 【인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2,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2,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합계출산율】
|
싱가포르 |
- 【인구】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합계출산율】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Chart4.1, Population Trends 2014 ; 2000년·2010년 기준
|
뉴욕 |
- 【인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QT-P1-Age Groups and Sex: 2000,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Age Groups and Sex: 2010, Census 2010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합계출산율】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 2000, p.40 ; 2000년 기준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 2010, p.42 ; 2010년 기준
|
런던 |
- 【인구】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2, Table P5, Census 2001 First Results on Population for England and Wale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PP04,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England and Wales-Unrounded Figures for the Data Published ; 2011년 기준
- 【합계출산율】 GLA, 2014, Table 1, Fertility in London 2001 and 2011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인구】 INSEE, 2015,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Âge Quinquennal ; 2000년·2010년 기준
- 【합계출산율】 APUR, 2015, Les Naissances àParis, Analyse des Évolutions Récentes ; 2000년·2010년 기준
|
|
노령화지수와 부양비 Aging Index and Dependency Ratio
고령화사회는 정의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지만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노령화지수와 고령인구 비율을 통해 지표를 계산하고 논의하려고 한다.
노령화지수는 ‘15세 미만의 유소년 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말한다. 도쿄의 경우 187.3으로 가장 높으며, 베이징이 118.7, 파리가 97.9, 서울이 68.5, 뉴욕이 68.1, 런던이 59.1, 싱가포르가 51.7이다.
또한, 고령인구비율은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며, UN보고서 기준에 의해 7%는 고령화사회, 14%는 고령사회, 20%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기준이 된다. 조사결과, 도쿄는 19.8%로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으며, 파리는 14.3%로 고령사회, 뉴욕은 12.1%, 런던은 11.1%, 그리고 서울은 9.6%, 베이징은 9.4%, 싱가포르는 9.0%로 7개 모든 도시가 고령화사회에 이미 진입하였다.
서울은 노령화지수에서 7개 도시 중 중간 정도이나 그 증가폭이 워낙 커서 이대로 두면 도쿄를 그대로 따라갈 것으로 우려된다.
총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에 대한 비생산가능인구(0~14세, 65세 이상)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생산가능인구가 담당해야 하는 비생산가능인구의 백분율(%)로 해석된다.
총부양비가 가장 높은 도시는 도쿄(44.84%)로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비생산인구 44.84명을 부양해야 하며, 그다음으로 뉴욕이 42.85, 런던이 42.45, 파리가 40.53, 싱가포르가 35.73, 서울이 31.09, 베이징이 20.87로 서울은 비교대상 도시 중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주
|
- 노령화지수와 고령인구 비율은 연령별 인구구조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함
- 노령화지수=(만 65세 이상 인구/만 15세 미만 인구)×100, 고령인구 비율(%)=(만 65세 이상 인구/전체 인구)×100
- 소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담해야 하는 만 14세 이하 인구의 수를 의미하며, 소년부양비=(만 14세 이하 인구/만 15~64세 인구)×100으로 산정함
-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담해야 하는 만 65세 이상 인구의 수를 의미하며, 노년부양비=(만 65세 이상 인구/만 15~64세 인구)×100으로 산정함
- 총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담해야 하는 비생산가능인구의 수를 의미하며, 총부양비 =(만 14세 이하 인구+만 65세 이상 인구)/만 15~64세 인구×100으로 산정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연령/성별 총조사인구,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연령 및 성별 인구-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2,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2,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QT-P1-Age Groups and Sex: 2000,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Age Groups and Sex: 2010, Census 2010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02, Table P5, Census 2001 First Results on Population for England and Wales ; 2001년 기준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PP04,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England and Wales-Unrounded Figures for the Data Published ; 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2015,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Âge Quinquennal ; 2000년·2010년 기준
|
|
총가구 수 Number of Household
총 가구 수는 전반적으로 가구의 소형화로 인하여 증가하였다. 서울은 309만 가구(2000년)에서 350만 가구(2010년)로 13.6%가 증가했다. 그런데 비교대상 도시와 비교하면 도쿄는 453만 가구 (18.9%), 베이징은 406만 가구(56.1%), 런던은 327만 가구(8.3%), 뉴욕은 311만 가구(2.9%), 파리는 117만 가구(4.9%), 싱가포르는 115만 가구(25.2%)로 나타났다.
주
|
- 총가구 수는 2000년,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런던은 2000년, 2010년 대신 2001년, 2011 년을, 파리는 1999년,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서울은 집단 가구, 외국인 가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집계함
- 일반 가구: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사는 가구, 1인 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
- 집단 가구: 비혈연 6인 이상 가구(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 집단시설 가구(기숙사나 노인요양시설, 보육원 등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살고 있는 가구
- 외국인 가구: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가구
- 싱가포르는 거주가구(resident households)를 기준으로 함
- 뉴욕은 외국인 가구를 포함함
- 런던은 일반 가구, 외국인 가구, 집단 가구를 모두 포함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가구 및 가구원,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가구형태별 가구 및 가구원-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東京都, 24 地域·世帯の種類·世帯人員別世帯数及び世帯人員(平成7年,1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2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7,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8,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2,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2015, Chiffres Clés-Couples-Familles-Ménages, Recensements de la Population ; 1999년 기준
-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rfé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
평균 가구원 수 Average Size of Households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대체로 런던을 제외하고는 모든 도시에서 감소하였다. 서울은 특히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도시 중 하나이며 3.1명(2000년)에서 2.7명(2010년)으로 줄었다. 싱가포르가 3.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이 서울(2.7명), 뉴욕(2.6명), 런던(2.5명), 베이징(2.4명), 도쿄(2.0명), 파리(1.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
|
- 평균 가구원 수는 Σ(가구원 수×가구 수)/가구 수로 산출되며,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표현함
- 평균 가구원 수는 2000년,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런던은 2000년, 2010년 대신 2001년, 2011년을, 파리는 1999년, 2009년 수치를 사용함
- 도시별 자료 출처에 기입된 평균 가구원 수 수치를 사용함. 베이징과 런던의 경우 지표의 값이 없어 전체 가구원 수/전체 가구 수로 직접 계산함
- 베이징은 2000년, 2010년 8개 구 전체 가구원 수 합/8개 구 전체 가구 수 합으로 계산함
- 베이징은 2010년 7월 현재 둥청구(东城区)가 충원구(崇文区)를, 시청구(西城区)가 쉬안우구 (宣武区)를 흡수합병해 성육구의 모습을 갖췄으나, 해당 자료가 발표될 당시에는 합병 전으 로 둥청구, 충원구, 시청구, 쉬안우구, 차오양구(朝阳区), 펑타이구(丰台区), 스징산구(石景山区), 하이뎬구(海淀区) 8개 구로 이뤄져 있었음
- 싱가포르는 거주가구(resident households)를 기준으로 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세대구성/가구원수별 총조사가구(일반가구),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세대구성 및 가구원수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東京都, Ⅱ人口, 24 地域·世帯の種類·世帯人員別世帯数及び世帯人員(平成7年,1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Population Trends 2014, p.107 ; 2000년·2010 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9,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2012, Baisse Modérée de la Taille des Ménages en Ile-de-France, INSEE Ile-de- France Faits et Chiffres ; 1999년·2009년 기준
|
|
1인 가구 비율 The Ratio of 1 Person Household
1인 가구의 비율은 도시별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중에서도 서울은 16.3%(2000년)에서 24.4%(2010년)로 크게 증가하였다. 비교대상 도시별로 보면, 1인 가구 비율은 파리 51.0%, 도쿄 49.1%, 뉴욕 32.0%, 런던 31.6%, 베이징 27.2% 등의 순이며, 우리도 조만간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주
|
- 1인 가구 비율(%)=1인 가구 수/총가구 수×100
- 1인 가구 비율은 2000년,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런던은 2000년, 2010년 대신 2001년, 2011년을, 파리는 1999년,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서울은 외국인 가구 및 특별조사구를 제외한 일반 가구만을 대상으로 집계함
- 싱가포르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만을 대상으로 집계함
- 뉴욕은 외국인 가구를 포함함
- 런던은 일반 가구 및 외국인 가구 포함. 단, 6인 이상 비친족 가구, 기숙사, 사회시설 등 집단 가구는 제외함
|
자료
|
서울 |
- 【1인 가구】
- 통계청, 행정구역/세대구성/가구원수별 총조사가구(일반가구),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성 및 거처의 종류별 1인가구-시군구,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총가구】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가구 및 가구원,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가구형태별 가구 및 가구원-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1인 가구】
- 東京都, 24 地域·世帯の種類·世帯人員別世帯数及び世帯人員(平成7年,1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총가구】
- 東京都, 24 地域·世帯の種類·世帯人員別世帯数及び世帯人員(平成7年,1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2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1인 가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 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총가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1인 가구】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20,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 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21,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00년 기준
- 【총가구】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7,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8,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1인 가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 년 기준
- 【총가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1인 가구】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9,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총가구】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2,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1인 가구】
- INSEE, 2009, Famille-Situation Matrimoniale,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 1999년 기준
-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ifé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총가구】
- INSEE, 2015, Chiffres Clés-Couples-Familles-Ménages, Recensements de la Population ; 1999년 기준
-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rfé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
구별 가구증감률 Change Rate in Household by District
주
|
- 구별 가구 증감률은 2000년 대비 2010년의 구별 가구 변화량을 계산한 수치이며, 구별 가구 증감률(%)=(2010년 가구 수-2000년 가구 수)/2000년 가구 수×100으로 산정함
- 런던은 2000년, 2010년 대신 2001년, 2011년을, 파리는 1999년,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가구 및 가구원,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가구형태별 가구 및 가구원-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東 京都, Ⅱ人口20, 地域別世帯数(平 成8~13 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2001, Table 17, Census of Population 2000 Statistical Release4: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ravel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8, Singapore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3: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ransport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DP-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9,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Chiffres Clés-Couples-Familles-Ménages, Recensements de la Population ; 1999년 기준
-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M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fé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
구별 1인 가구 비율 1 Person Household by District
주
|
- 구별 1인 가구 비율(%)=구별 1인 가구 수/총가구 수×100
- 구별 1인 가구 비율은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런던은 2011년, 파리는 2011년 수치를 사용함
|
자료
|
서울 |
- 【구별 1인 가구】 통계청, 성 및 거처의 종류별 1인 가구-시군구,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총가구】
- 통계청, 행정구역별 총조사 가구 및 가구원, 인구총조사 ; 2000년 기준
- 통계청, 가구형태별 가구 및 가구원-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도쿄 |
- 【구별 1인 가구】 東京都, 2-10 地域·世帯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총가구】
- 東京都, 24 地域·世帯の種類·世帯人員別世帯数及び世帯人員(平成7年,1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12年 ; 2000년 기준
- 東京都, 2-10 地域·世帯2人員·世帯の種類別世帯数(平成22年), 東京都統計年鑑 平成25年 ; 2010년 기준
|
베이징 |
- 【구별 1인 가구】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총가구】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03, 表1, 第五次人口普查分县数据(2000年) ; 2000년 기준
- 中华人民共和国國家統計局, 2013, 表1, 第六次人口普查分县数据(2010年) ; 2010년 기준
|
싱가포르 |
- 【구별 1인 가구】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21, Singapore Census of Population 2010: Statistical Release 3: Geographic Distribution and Transport ; 2010년 기준
- 【총가구】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01, Table 17, Census of Population 2000 ; 2000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8,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
|
뉴욕 |
- 【구별 1인 가구】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DP-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총가구】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07, DP-1, Census 2000 Summary File 1 ; 200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P1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구별 1인 가구】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9, Historical Census Tables ; 2011년 기준
- 【총가구】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4, Table 12, Historical Census Tables ; 2001년·2011년 기준
|
파리 |
- 【구별 1인 가구】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rféM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총가구】
- INSEE, 2015, Chiffres Clés-Couples-Familles-Ménages, Recensements de la Population ; 1999년 기준
- INSEE, 2014, Tableaux Détaillés-Ménages par Taille du Ménage et Catégorie Socioprofessionnelle de la Personne de Rérférence, RP 2011 Exploitation Complémentaire ; 2011년 기준
|
|
1,000명당 주택 수 The Number of Housing per 1,000 Persons
1,000명당 주택 수는 ‘인구 수 대비 주택호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국가의 주택수급 상황을 양적 측면에서 보여주는 지표이다. 도시마다 주택에 포함하는 기준이 서로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다.
지표를 서로 비교하면 파리는 605.7, 도쿄가 579.1, 뉴욕이 412.4, 런던이 410.8, 그리고 서울이 347.1, 싱가포르가 31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은 상주인구가 많고 1·2인 가구가 많이 증가하여, 소형주택 수요 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공급해야 할 것이다.
주
|
- 인구 1,000명당 주택 수=(주택 수/총인구)×1,000
- 1,000명당 주택 수는 2010년을 기준으로 하되, 도쿄는 2013년, 런던은 2011년, 파리는 2012년 수치를 사용함
- 서울의 총인구와 총주택 수는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활용함
- 2005년 이전 주택 수는 다가구 주택을 동수를 기준으로 집계했으나 주택의 양적 수치를 현실에 맞게 반영할 수 없다는 지적에 따라 다가구 주택을 구분거처(호수 기준)로 구분해 집계함. 빈집은 포함했으나, 오피스텔은 제외함
- 도쿄 총인구와 총주택 수는 주택조사가 2008년, 2013년 등 5년 단위로 이뤄지므로 2013년 수치를 사용함
- 일본의 센서스가 2005년, 2010년 등 5년마다 발표되므로 총인구는 도쿄도통계연감(東京都統計年鑑)에 나온 2013년 추정인구 자료를 사용함
- 싱가포르의 주택은 주택개발청(HDB, Housing & Development Board)에 의해 국민에게 보급 되는 공공주택인 HDB 주택과 민간 건설사가 공급하는 주택으로 분류함. 총주택 수는 HDB 공급 주택 수와 민간 건설사 공급 주택의 합임. HDB 주택은 Flats(1room, 2room, 3room, 4room, 5room, executive), Condominiums, Studio Apartment, HUDC(Housing and Urband Development Company)로 구분함
- 싱가포르 인구는 거주권자(residents)만 포함함
- 런던의 총주택 수에 사용된 지표값은 total dwelling stock 자료로 추정치임
- 파리의 총인구는 2012년 추정인구로 계산함
|
자료
|
서울 |
- 통계청, 인구·가구 및 주택-읍면동, 인구총조사 ; 2010년 기준
- 서울통계, 주택현황 및 보급률(새로운 산정방식) ; 2010년 기준
|
도쿄 |
|
싱가포르 |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1, Table 1, Census of Population 2010 ; 2010년 기준자료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5, 14.1 Available and Vacant Private Residential Properties, Yearbook of Statistics Singapore 2015 ; 2010년 기준
|
뉴욕 |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G001-Geographic Identifiers,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2, QT-H1, 2010 Census Summary File 1 ; 2010년 기준
|
런던 |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2012, Table 2, 2011 Census: Population and Household Estimates for the United Kingdom ; 2011년 기준
-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5, Net Additional Dwellings and All Dwellings Estimates by Local Authority District ; 2011년 기준
|
파리 |
- INSEE, 2016,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Âge Quinquennal, Estimations de Population ; 2012년 기준
- INSEE, Logements Selon la Catégorie en 2012: Comparaisons Départementales, RP 2012 Exploitation Principale ; 2012년 기준
|
|
1인당 평균 주거면적 Average Housing Space per Person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물리적 주거밀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서 주거의 질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 지표들은 도시마다 집계하는 정의와 기준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해하고 이 그림을 보아야 한다. 예로서, 서울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사용면적으로서 개별 가구의 주택사용 면적을 개별 가구원 수로 나눈 값의 평균’이며 엄격히 적용하자면 전용면적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
그림을 보면, 런던이 32.4㎢로 가장 크며, 파리가 31.0㎢, 서울이 30.1㎢ 싱가포르가 27.6㎢, 베이징이 19.5㎢, 도쿄가 18.7㎢로 나타났다.
주
|
-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해당 도시의 물리적 주거 밀도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로 주거의 질을 나타내며,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함
-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2014년을 기준으로 하되, 도쿄는 2013년, 베이징은 2010년, 파리는 2015년 수치를 사용함
- 1인당 주거면적은 주택 연면적(Si)의 총합을 가구원수(ni)의 총합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는 방식 과 개별가구의 주택사용면적(Si)을 개별 가구원수(ni)로 나눈 값을 평균 내어 계산하는 방식으로 나뉨
- 전자는 전수조사이고, 후자는 표본조사이므로 표본오차가 존재하나, 후자의 경우 개별가구 의 주거면적을 산출할 수 있어 지역별, 점유형태별 혹은 가구특성별 1인당 주거면적 분포, 일정 규모(예: 10㎡ 이하)의 1인당 주거면적을 지닌 가구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지표의 활용성 측면에서는 더 적절하다고 판단함
- 후자의 방식이 3~4㎡ 넓게 나타남
- 서울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주거실태조사 방식에 따라 개별가구의 주택사용면적(Si)을 개별 가구원수(ni)로 나눈 값을 평균 내어 산출함
- 도쿄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주택당 평균 면적을 총가구원 수와 총주택 수로 산출된 주택당 평균 가구원 수로 나눠 직접 계산함
- 베이징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대도시권을 기준으로 작성함
- 베이징시통계국(北京市统计局)에서 사용한 성진 거민인 평균 주방건축면적(城镇居民人平均住房建筑面积) 지표는 도시지역 가구(住户)의 표본조사 수치이며, 도시지역 가구조사 규격범 위는 2008년 이후 5000호 도시주민 수치, 모든 구(区) 및 현(县)을 포함함
- 싱가포르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개별가구의 주택사용면적(Si)을 개별 가구원 수(ni)로 나눈 값의 평균으로 산출됐으며, HDB 주택 기준 주거면적 값을 사용해 계산함
- 파리의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은 INSEE 자료를 재인용한 수치임
|
자료
|
|
공공임대주택 비율 Public Rental Housing
공공임대주택의 비율은 도시마다 여건과 공급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해석 시 유의해야 한다.
서울은 시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아직 6.4%에 머물고 있으며, 런던의 23.4%와 파리의 16.9%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쿄도 6.6%로 서울보다 다소 나은 수준이다.
향후, 서울에서 공공임대주택은 역세권에서의 2030 청년주택 등과 같이 다양한 계층의 수요에 걸맞은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존 주택의 스톡을 리모델링하여 재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주
|
- 공공임대주택 비율(%)=공공임대주택 수/총주택 수×100
-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2014년을 기준으로 하되, 도쿄는 2013년, 뉴욕은 2015년, 런던은 2011 년, 파리는 2012년 수치를 사용함. 뉴욕의 경우 해당연도의 총주택 수 자료가 없어 2013년 자료를 사용해 지표값을 산출함
- 서울의 공공임대주택은 LH, 지자체 등 공공이 공급하는 임대주택을 의미하며, 영구임대, 50년 임대, 국민임대, 10년임대, 장기전세, 전세임대 등을 포함함
- 서울의 총주택 수는 2014년 인구주택총조사 집계에 국토교통부 보고 산정기준에 따라 매년 신축주택 수를 더하고 멸실 수를 감하는 방식으로 산정한 주택 수 수치를 사용함
- 도쿄의 공공임대주택은 도영주택, 복지주택, 도민주택, 시정촌주택, 고령자용 우량주택, 공사 의 임대주택, 도시재생기구의 임대주택을 포함함
- 싱가포르의 공공임대주택은 HDB에서 공급하는 주택 중 임대주택만 집계함
- 런던의 총주택 수에 사용된 지표값은 total dwelling stock 자료로 추정치임
- 런던의 공공임대주택은 사회임차인(social tenants)의 가구 수 수치를 사용했으며, 공영주택 (council housing)과 기타 사회주택(social housing)이 포함된 값임
|
자료
|
서울 |
- SH 공사 내부자료 ; 2014년 기준
- 서울특별시, 2015, 주택건설 1.주택현황 및 보급률, 55회 서울통계연보 ; 2014년 기준
|
도쿄 |
|
싱가포르 |
- Housing & Development Board, Key Statistics, HDB Annual Report 2013/2014, p.10 ; 2014년 기준
-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5, T14.10, Yearbook of Statistics Singapore ; 2014 년 기준
|
뉴욕 |
- New York City Housing Authority, Development Data Book 2015, p.62 ; 2015년 기준
- United States Census Bureau, DP04, 2009~2013 5-Year American Community Survey ; 2013년 기준
|
런던 |
- Mayor of London, 2014, Social Tenants as a Proportion of All Households in London by Ward, 2011, Housing in London 2014 ; 2011년 기준
-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2015, Net Additional Dwellings and All Dwellings Estimates by Local Authority District ; 2011년 기준
|
파리 |
- SOeS, Parc Locatif Social par Type de Logement au 1er Janvier 2012 ; 2012년 기준
- INSEE, Logements Selon la Catégorie en 2012: Comparaisons Départementales, RP 2012 Exploitation Principale ; 2012년 기준
|
|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Price Income Ratio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rice Income Ratio; PIR)은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지표로서, 주택구매능력을 나타낸다. 특히, 최근에는 주택가격이 증가함에 따라, 지불 가능한 저렴주택이 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지표를 통한 도시 간 비교를 위해 서울은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나 도쿄, 싱가포르, 뉴욕, 런던은 Performance Urban Planning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서울은 8.3배로 런던의 8.5배보다 다소 저렴하나 뉴욕의 6.1배, 싱가포르의 5.0배, 도쿄의 4.9배보다는 비싼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 지표 값의 증가는 서울의 인구가 경기도로 이주하는 원인이 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싱가포르의 HDB와 도쿄, 뉴욕, 런던, 파리의 관련 기관은 주택공급 시 도시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공급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서울도 역세권 등에 임대주택을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하려고 하고 있어 이들 도시의 공급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저렴주택이 충분히 공급된다면 주택가격의 안정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에 젊고 유능한 인재가 더 많이 살게 되어 활력 있는 도시가 될 것이다.
주
|
-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IR, Price Income Rate)은 주택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PIR(배)=주택가격의 중위(평균)수/가구 연소득 중위(평균)수로 산출함
- 소득이나 주택가격은 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평균보다는 중위수를 이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지표산출이 가능하며, 국제적으로도 중위수를 널리 이용하고 있으므로 중위수를 활용한 지표를 사용함
- 서울의 경우 평균을 활용한 PIR 값은 8.9로 나타남
- 도쿄, 싱가포르, 뉴욕, 런던의 PIR은 Performance Urban Planning이 조사한 자료로 2014년 기준으로 작성함
- 도쿄는 요코하마, 뉴욕은 NY-NJ-PA-MSA, 런던은 런던광역시(GLA, Greater London Authority)를 포함한 수치임
|
자료
|
- 【서울】 국토교통부, 2014,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p.289 ; 2014년도 기준
- 【서울 외】 DEMOGRAPHIA, 11th Annual Demographia International Housing Affordability Survey: 2015, p.33 ; 2014년도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