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열기/닫기

서울 정책아카이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새소식

서울시, 빅데이터로 본 연령별‧지역별 1인가구 생활특성 다양 … 맞춤정책 추진

등록일 2022-08-30 글쓴이 seoulsolution
배포일
2022-08-30
관할부서
디지털정책관 빅데이터담당관
- SKT‧시립대와 통계·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한 1인가구 추정 첫 시도 … 매달 업데이트
- 2030은 대학‧회사 근처에 밀집거주, 배달‧동영상 서비스 이용 1인가구 밀집지역서 多
- 저소득 고령층 이동‧외출‧통화 적어 사회적고립 위험↑…여성보다 남성이 소통 적어
- , ‘1인가구 4대 안심정책과 연계 전체가구 36.8% 1인가구 삶의 질 높이는 정책 추진

서울시가 인구‧가구 통계조사와 SKT의 통신데이터를 결합해 1인가구의 삶을 종합적입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령지역성별 등에 따라 생활방식의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 1인가구는 대학가나 회사가 많은 특정 행정동에 몰려서 거주하고 있는 반면, 4050 중장년층은 저층주거지, 60대 이상 노년층은 강북도봉노원구에서 밀집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자통화 등으로 커뮤니케이션(소통)을 잘 하지 않는 1인가구는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비율이 더 높았다. 저소득 고령층 1인가구는 이동거리, 외출건수, 통화건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크게 적어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배달앱 사용량이 많은 지역은 관악, 강남, 광진 순으로 나타나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배달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는 사용 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가 SK텔레콤, 서울시립대와 협력해 300만 명의 가명데이터를 결합 분석한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를 개발, 발표했다. 29() 서울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을 통해 첫 공개하고, 월 단위로 갱신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매월 20일경)할 계획이다.
○ 공개되는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공공‧연구기관은 물론 기업, 학생, 일반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시는 데이터뿐 아니라 데이터 개발과정을 알 수 있는 데이터 설명서행정동 코드정보’, ‘데이터분석 예제 코드도 함께 개방해 이용자의 편의를 높일 예정이다.
 
*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란?
서울시와 SK텔레콤이 공공빅데이터와 통신데이터 가명결합을 통해 추정한 서울 행정동단위 성/연령별 1인가구와 서울시민의 생활특성 정보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인구·가구통계 등 공공데이터(통계청 등록센서스) 가명처리한 통신데이터(SKT 통신정보)를 결합해 행정동 단위로 성‧연령별 1인가구 수와 생활실태를 추정해볼 수 있는 데이터다. 데이터 3(개인정보보호법) 개정('20. 8.) 이후 가명데이터가 실생활에 적용되는 첫 사례이자,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시도다.
○ 가명데이터란 해당 정보만으로는 성명·생년월일 등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데이터를 말한다. ‘데이터 3으로 불리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20.8.)으로 통계데이터 작성목적의 가명정보 이용이 가능해졌다.
 
특히, 통화문자량, 유튜브넷플릭스 등 영상 서비스 사용일수, 이동횟수거리, 배달 서비스 사용일수 등과 같이 통신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통해 1인가구의 생활특성을 보다 촘촘하게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커뮤니케이션, 이동, 여가, 재정 등 10개 관심집단수와 29개 통신정보(통화량, 외출횟수, 요금 연체여부, 게임‧금융‧배달 등 생활서비스 사용량 등)로 구성된다.
 
<‘1인가구 4대 안심정책과 연계 전체가구 36.8% 1인가구 삶의 질 높이는 정책 수립추진>
서울시는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를 올해 초 발표한 ‘1인가구 4대 안심정책(▴건강 ▴안전 ▴고립 ▴주거)과 연계해 1인가구 등 사회적약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 수립추진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시 거주 1인가구는 149만 명('21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의 36.8%에 달한다.
※ 서울시 1인가구 비율: 20.5%('10) 29.5%('15) 36.8%('21)
 
예컨대, 세분화된 연령별‧지역별 정보를 활용해 세대별 핀셋정책과 1인가구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노년층의 경우 커뮤니티 활동이 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함께 식사를 하면서 교류하는 행복한 밥상이나 말벗 사업 등을 연계해 사회관계성을 개선하고 고독‧고립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1인가구 정책뿐 아니라 행정동별 배달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해 배달노동자 쉼터 입지선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시는 올해 하반기에는 통신데이터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데이터(소비‧가맹점 정보)와 신용정보(신용‧소득 정보)를 추가로 결합해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고도화한다. 이를 위해 신한카드 등 민간사업자와의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 민간기관으로 코리아크레딧뷰로(신용정보), 신한금융그룹(소비), SK텔레콤(통신), 연구기관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빅데이터·AI연구원이 참여할 예정이다.

<2030은 대학회사 근처에 밀집거주, 배달동영상 서비스 이용 1인가구 밀집지역서 >
서울시가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를 통해 추정한 1인가구 수는 1534천 가구('22.6월 기준)였다. 시점의 차이는 있지만 통계청의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에서 파악된 1인가구 수(1391천 가구, '20.11.1. 기준)보다 약 143천 가구(10.3%)가 많았다. 1인가구가 많은 행정동 순위와 인구 대비 1인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 순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1인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 TOP 5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1인가구 (2020)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1인가구 (2022)
1 관악구 청룡동 13,435 가구 강남구 역삼1 16,130 가구
2 강남구 역삼1 12,735 가구 광진구 화양동 15,049 가구
3 광진구 화양동 12,704 가구 관악구 청룡동 12,798 가구
4 관악구 신림동 11,942 가구 관악구 신림동 12,258 가구
5 강서구 가양1 11,023 가구 동작구 상도1 10,900 가구
○ 인구대비 1인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 TOP 5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1인가구 (2020)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1인가구 (2022)
1 관악구 신림동 11,942 가구(77%) 관악구 신림동 12,258 가구(66%)
2 광진구 화양동 12,704 가구(76%) 중구 을지로동 860 가구(60%)
3 서대문구 신촌동 9,002 가구(72%) 광진구 화양동 15,049 가구(59%)
4 중구 을지로동 781 가구(70%) 중구 명동 1,756 가구(52%)
5 금천구 가산동 9,775 가구(69%) 강남구 역삼1 16,130 가구(51%)
 
세대에 따라 1인가구 밀집지역과 밀집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청년(20~30) 1인가구는 대학가나 회사 주변에 몰려 거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장년층(40~50)은 저층주거지에서, 노년층(60대 이상)은 강북도봉노원구에서의 밀집도가 각각 높았다. 특히, 도심(중구‧종로구)1인가구 수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인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년층(20~30)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은 광진구 화양동, 강남구 역삼1, 관악구 청룡동 순으로 대학가나 회사 주변에 밀집해 있었다. 중장년층(40~50)은 강남구 역삼1, 강서구 화곡1, 중랑구 중화2동 순, 노년층(60대 이상)은 강서구 등촌3, 노원구 중계2·3, 노원구 상계3·4동 순으로 밀집도가 높았다.

○ 세대별 인구와 1인가구가 많이 거주하는 행정동을 각각 비교한 결과, 40대에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령, 20대의 경우 20대 전체의 밀집지역과 1인가구 밀집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40대는 전체 인구 수가 가장 많은 행정동(양천구 신정3)1인가구 밀집지역(강남구 역삼1)에 차이가 있었다.

통신데이터를 활용해 행정동별 배달서비스 접속건수를 분석한 결과,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18.4), 강남구 논현1(18.1), 강남구 역삼1(17.6)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5~34세에서 가장 많았다.

유튜브 등 동영상‧방송 서비스 사용횟수는 30대에서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는 관악구 신림동(월평균 28.1), 강남구 역삼1(월평균 26.6), 강남구 논현1(월평균 26.4) 순으로 1인가구 밀집지역에서 높았다.
 
서울시는 저소득 구간에 속하는 고령층 1인가구의 경우 휴일 이동거리, 전화통화를 하는 사람의 수, 휴일 외출건수 등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이 적어 사회적 접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 이를 통해 현재 2030 1인가구의 미래 경제활동이 위축된다면 향후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고, 이는 우리 사회의 건전한 활력을 떨어트릴 수 있는 만큼 관련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 한편,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는 통계청의 인구총조사(1인가구),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통계(1인세대)처럼 행정자료에 기반한 국가 승인통계와 달리, 공공데이터와 민간데이터를 결합해 만들어졌다. 1년 단위로 생산되는 인구총조사와 달리 매월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되며 행정동별, 성별, 연령별(5세 단위)로 세분화해 활용할 수 있다.

※ 통계(데이터) 간 차이(기준시점: 2020.11)
  인구총조사
(1인 가구)
주민등록인구통계
(1인 세대)
서울 시민생활 데이터
(1인 가구)
1인가구(세대) 1,390,701 가구
 
 
1,858,554 세대
①대비 467,853세대(+33.6%)
 
1,476,040 가구
①대비 85,339가구(+6.1%)
②대비 △382,514세대(25.9%)
작성주기 1 매월 매월
공간범위 자치구 행정동 행정동
인구정보 ·연령별(5세별) ·연령별(1세별) ·연령별(5세별)
주요통계 종사상 지위(직업), 거처의종류, 주거시설형태 등 - 사회적관계성, 이동량, 요금연체율, 모바일서비스 사용량 등 10 관심집단 정보와 29개 통신정보
 
□ 이혜경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1인가구와 사회적 약자 등을 위한 복지그물망 정책개발을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공간적으로 해상도 높은 데이터가 꼭 필요하다.”향후에도 다종 데이터 간 결합을 통한 빅데이터 연구 활성화로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중추적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