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빅데이터 활용 외국인 생활인구 조사결과 발표
- 서남권에 집중된 등록인구 대비 생활인구는 서울전역에 고루 분포한 것으로 나타나
- 주간 생활인구 1위 서대문 ‘신촌동’, 2위 마포구 ‘서교동’…유학생 등 20대 가장 많아
- 용산·서초·강남은 영어권, 30~40대, 전문인력 높은 비율 보여…
- 인구감소 및 글로벌 도시경쟁력 강화 위해 맞춤형 정책 추진계획
□ 서울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외국인 생활인구 분포’ 조사결과를 27일(월)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가 보유한 생활인구 빅데이터를 통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생활인구를 파악해 외국인주민 지원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이민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실시했다.
○ 서울시 외국인 생활인구란 서울시와 국내 통신사 KT가 공공빅데이터와 통신데이터를 이용해 추계한 서울의 특정 지역,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모든 외국인을 말한다.
□ 서울시는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KT 가입자 중 국내에 90일 이상 체류하는 외국인)를 주거지역과 생활지역으로 나누어 ’22년 4월 4일(월) 오전 3시와 같은 날 오후 3시 기준 서울시 25개 자치구 및 425개 행정동별로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했다.
□ 조사결과에 따르면, 법무부 통계상 서울시 외국인등록 인구는 ’22년 3월 말 기준 36만3,887명이나 서울시 생활인구는 38만4,036명(’22.4.4.오전 3시 기준)으로 등록인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거주인구로 볼 수 있는 오전 3시 서울시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의 총 규모는 38만4,036명이며, 낮 시간대 활동인구로 볼 수 있는 오후 3시 생활인구 총 규모는 37만6,296명이다.
□ 주로 서남권(구로구‧금천구‧영등포구)에 집중된 것으로 보이는 등록인구 대비 생활인구는 서울시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서남권 3권역의 생활인구는 등록인구 대비 낮게 나타났고, 동대문, 광진, 마포, 용산 등의 생활인구는 등록인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코로나 상황 이후 주변 지역으로 분산되는 양상을 보이는 다른 자치구 대비, 서남권의 경우 대림2동, 대림3동, 구로2동 등 일부 행정동으로 인구가 더욱 밀집되는 양상을 보였다.
□ 425개 행정동별 주·야간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 분석 결과, 서남권에는 주로 야간 생활인구가 많고, 주간에는 서대문, 마포, 종로, 광진, 강남 등 다양한 지역에서 외국인이 생활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서대문구 신촌동, 마포구 서교동 일대가 서울에서 생활하는 외국인들이 모이는 신흥 밀집지로 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야간 생활인구는 대체로 서남권(구로구·영등포구)에 집중하는 분포를 보였으며, 서남권 이외에는 서대문구 신촌동(4위), 광진구 자양4동(5위)·화양동(7위), 종로구 혜화동(9위), 동대문구 이문1동(10위)이 10위권에 올랐다.
○ 주간 생활인구는 서대문구 신촌동(1위), 영등포구 대림2동(2위)·대림3동(3위), 구로구 구로2동(4위), 마포구 서교동(5위), 종로구 혜화동(6위), 광진구 화양동(7위), 강남구 역삼1동(8위), 광진구 자양4동(9위), 구로4동(10위)이 10위권에 올랐다.
□ 또한 서울시 장기체류 외국인 등록인구 추가 분석 결과, 출신국적 및 언어권별로 집거지를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치구별로 체류자격 및 연령별 분포 차이도 나타났다.
○ 언어권별로는 서남권은 주로 90% 이상이 중국어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용산·서초·강남은 영어권이 많고, 중랑·광진·성북 등 서북지역에서 최근 몽골어권이 증가세를 보였다.
○ 체류자격 관련, 전문인력 등은 주로 용산·서초·마포·강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유학생은 대학교가 위치한 동대문·서대문·성북·광진·관악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연령대별 분포에 따르면 대학 인근 동대문·서대문·성북·광진·종로 등에는 20대 인구가 많고, 용산·강남·서초·송파 지역에는 30~40대가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서남권 지역은 50대 이상 인구가 높아 고령화 추세를 보였다.
□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생활인구는 행정통계로 집계된 등록인구보다 도시‧행정서비스 등의 수요와 공급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통계자료”라며,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인주민 지원정책이 중요한만큼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밀집하는 외국인 생활인구 특성에 맞는 정책들을 마련,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주간 생활인구 1위 서대문 ‘신촌동’, 2위 마포구 ‘서교동’…유학생 등 20대 가장 많아
- 용산·서초·강남은 영어권, 30~40대, 전문인력 높은 비율 보여…
- 인구감소 및 글로벌 도시경쟁력 강화 위해 맞춤형 정책 추진계획
□ 서울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외국인 생활인구 분포’ 조사결과를 27일(월)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가 보유한 생활인구 빅데이터를 통해 외국인 밀집지역의 생활인구를 파악해 외국인주민 지원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이민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실시했다.
○ 서울시 외국인 생활인구란 서울시와 국내 통신사 KT가 공공빅데이터와 통신데이터를 이용해 추계한 서울의 특정 지역, 특정 시점에 존재하는 모든 외국인을 말한다.
□ 서울시는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KT 가입자 중 국내에 90일 이상 체류하는 외국인)를 주거지역과 생활지역으로 나누어 ’22년 4월 4일(월) 오전 3시와 같은 날 오후 3시 기준 서울시 25개 자치구 및 425개 행정동별로 생활인구 데이터를 분석했다.
□ 조사결과에 따르면, 법무부 통계상 서울시 외국인등록 인구는 ’22년 3월 말 기준 36만3,887명이나 서울시 생활인구는 38만4,036명(’22.4.4.오전 3시 기준)으로 등록인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거주인구로 볼 수 있는 오전 3시 서울시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의 총 규모는 38만4,036명이며, 낮 시간대 활동인구로 볼 수 있는 오후 3시 생활인구 총 규모는 37만6,296명이다.
□ 주로 서남권(구로구‧금천구‧영등포구)에 집중된 것으로 보이는 등록인구 대비 생활인구는 서울시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서남권 3권역의 생활인구는 등록인구 대비 낮게 나타났고, 동대문, 광진, 마포, 용산 등의 생활인구는 등록인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 또한 코로나 상황 이후 주변 지역으로 분산되는 양상을 보이는 다른 자치구 대비, 서남권의 경우 대림2동, 대림3동, 구로2동 등 일부 행정동으로 인구가 더욱 밀집되는 양상을 보였다.
□ 425개 행정동별 주·야간 장기체류 외국인 생활인구 분석 결과, 서남권에는 주로 야간 생활인구가 많고, 주간에는 서대문, 마포, 종로, 광진, 강남 등 다양한 지역에서 외국인이 생활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서대문구 신촌동, 마포구 서교동 일대가 서울에서 생활하는 외국인들이 모이는 신흥 밀집지로 부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야간 생활인구는 대체로 서남권(구로구·영등포구)에 집중하는 분포를 보였으며, 서남권 이외에는 서대문구 신촌동(4위), 광진구 자양4동(5위)·화양동(7위), 종로구 혜화동(9위), 동대문구 이문1동(10위)이 10위권에 올랐다.
○ 주간 생활인구는 서대문구 신촌동(1위), 영등포구 대림2동(2위)·대림3동(3위), 구로구 구로2동(4위), 마포구 서교동(5위), 종로구 혜화동(6위), 광진구 화양동(7위), 강남구 역삼1동(8위), 광진구 자양4동(9위), 구로4동(10위)이 10위권에 올랐다.
□ 또한 서울시 장기체류 외국인 등록인구 추가 분석 결과, 출신국적 및 언어권별로 집거지를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치구별로 체류자격 및 연령별 분포 차이도 나타났다.
○ 언어권별로는 서남권은 주로 90% 이상이 중국어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용산·서초·강남은 영어권이 많고, 중랑·광진·성북 등 서북지역에서 최근 몽골어권이 증가세를 보였다.
○ 체류자격 관련, 전문인력 등은 주로 용산·서초·마포·강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유학생은 대학교가 위치한 동대문·서대문·성북·광진·관악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 연령대별 분포에 따르면 대학 인근 동대문·서대문·성북·광진·종로 등에는 20대 인구가 많고, 용산·강남·서초·송파 지역에는 30~40대가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서남권 지역은 50대 이상 인구가 높아 고령화 추세를 보였다.
□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생활인구는 행정통계로 집계된 등록인구보다 도시‧행정서비스 등의 수요와 공급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는 통계자료”라며, “인구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인주민 지원정책이 중요한만큼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구별 밀집하는 외국인 생활인구 특성에 맞는 정책들을 마련,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