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산업지원 및 도시재생 통합적 관점의 특성 분석
서울시 성수동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산업지원 및 도시재생 통합적 관점의 특성 분석
이 연구는 도시 내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의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지원정책 사례조사를 하였다. 해외 도시재생 성공사례인 유럽연합(EU)의 도시재생 지원정책과 도쿄의 모노즈쿠리 지원정책․제도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서울 성수동 사례에 적용하여 산업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수동과 같은 소규모 제조업 밀집지역의 산업기반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쇠퇴한 산업밀집지역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도시재생사업 시행 시 일본의 모노즈쿠리․마치즈쿠리 사례처럼 산업정책과 공간정책을 통합한 지역단위 종합 처방이 필요하다. 민관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추진체계의 형성과 산업․경제에 기반을 둔 도시재생을 통해서만 도시재생 효과의 지속가능성과 자립구조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주제어:도심산업 집적지 재생, 도시재생 지원정책, 산업지원 정책
ABSTRACT:This was a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supporting urban regeneration. The goal was identifying measures that would support policy for urban regeneration in areas with heavy concentrations of small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in the city. This study established a framework of analysis centering on the successful cases of urban regeneration overseas, such as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EU) and the Monozukuri policy and system of Tokyo, and applied the framework to the case of Seongsu-dong, Seoul, to derive implications relating for policy supporting urban regeneration in industrial area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supporting dense industrial areas that are in a state of decline in order to have an adequate policy for industry-based urban regeneration,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measure for each area, combining industrial and spatial policies, as in the cases of Monozukuri and Machizukuri in Japan. It would be possible to secure the sustainable and self-reliant urban regeneration only if urban regeneration is based on the local industries and economy.
Key Words:regeneration of urban industry concentrated area, urban regeneration supporting policy, industrial supporting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