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들의 미래를 위해 2023년 54개 사업, 약 8,900억원 투입
- 2023 청년정책 총 54개 중 28개 사업 증액, 기존 사업은 고도화 추진
- 청년정책 핵심방향은「연결(Connecting)」,「정책 체감도」 향상
- 연간 청년정책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청년정책 캘린더」제작
- 청년생활 접점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정책전달 체계 구축
- 청년정책 핵심방향은「연결(Connecting)」,「정책 체감도」 향상
- 연간 청년정책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청년정책 캘린더」제작
- 청년생활 접점을 활용하여 적극적인 정책전달 체계 구축
□ 서울시가 2월 20일(월) 서울시청에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하고, 서울시 중장기 청년정책 로드맵「청년행복프로젝트」에 기반한 20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심의·의결 했다.
○ 청년정책조정위원회는 청년정책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하여 설치된 위원회로, 서울시장-민간위원(김만기 위원) 공동위원장 수행
○ 총 1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년위원(만19~39세) 8명 포함
○ 서울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20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은 국무조정실 중앙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거쳐 최종확정 예정
□ 2023년에는 총 54개 사업, 약 8,900억원이 연간 투입될 예정으로, 일자리·복지·문화·금융·참여 등 청년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다각적인 정책지원이 올해도 이어진다.
○ 일자리(1,626억) : 취업사관학교, 미래청년일자리 등 15개 사업
○ 주거(5,314억) : 청년매입주택 공급, 청년월세 지원 등 8개 사업
○ 교육·문화(148억) : 청년문화패스, 청년인생설계학교 등 9개 사업
○ 복지·생활(1,732억) : 청년수당, 희망두배 청년통장 등 12개 사업
○ 참여·공간(115억) : 청년참여기구, 청년공간 운영 등 10개 사업
□ 주요 사업은 ▲사회에 첫발을 들인 청년들의 문화 향유를 위한 청년문화패스 ▲소위 깡통전세 문제가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서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전월세보증보험료 지원 확대 ▲일자리 미스매칭을 해소하고 청년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청년취업사관학교 확대 등이다.
○ (신규) 청년문화패스 : 만19세 청년에게 공연예술 관람지원을 위해 연 20만원의 상당의 문화바우처 지급
○ (확대) 전월세보증보험료 지원 : 무주택 청년대상으로, 주택임차보증금 보호를 위해 전월세보증보험료 지원
○ (확대) 청년취업사관학교 : 디지털 신기술 분야 역량강화 및 일자리 밀착 연계를 위해 1자치구 1청년취업사관학교 지속 추진
□ 총 54개 사업 중 신혼부부·청년 임차보증금 지원(913억→990억원),
희망두배 청년통장(225억→308억원), 마음건강 지원사업(31억→50억원) 등 28개 사업 예산이 전년 대비 증액되었으며, 고립·은둔청년 지원, 서울 영테크, 청년몽땅정보통, 청년인생설계학교 등 기존 정책들의 사업 고도화도 지속될 예정이다.
□ 올해, 서울시 청년정책의 방향의 키워드는「연결(Connecting)」로, 청년들의 정책 체감도 향상을 위해 사업 연계성을 확보하고 정책 전달을 강화하겠다는 의지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첫째, 개별정책을「패키지화」하고, 둘째, 대외기관과 적극적 업무협약(MOU) 확대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청년정책 연간 캘린더」를 제작하여 정책연계와 청년 접촉면 확대의 기반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다양한 정책들이 청년들에게 적시에 닿지 못하는 상황을 개선하고, 분야별 정책 현황을 손쉽게 파악하여 정책 간 연계를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 청년정책 캘린더는 온라인 청년정책 종합플랫폼「청년몽땅정보통」에서 사업별 상세내용 확인 가능
○ 이후, 전산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QR코드를 활용한 접근성 및 검색 편의성을 향상시킬 예정
예시) QR코드 → 정책캘린더 확인 → 청년취업사관학교 클릭 → 상세 사업내용 및 신청방법 확인
□ 또한, 청년 생활 접점을 활용하여 청년들이 밀집한 대학교는 물론 예비청년 대상 고등학교, 민간기관, 종교계와의 연계 협력(MOU)를 확대하고,「청년정책 연간 캘린더」도 함께 공유함으로써 정책 체감도 향상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청년들을 위한 수 많은 정책들이 청년들에게 닿지 못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항상 느낀다” 고 말하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항상 고민할 것이며, 서울시 청년이라면 누구나 다양한 청년정책을 경험 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