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메뉴 열기/닫기

서울 정책아카이브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새소식

서울시, 전국 최초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3월 중 종합지원대책 추진

등록일 2023-01-19 글쓴이 seoulsolution
배포일
2023-01-19
관할부서
미래청년기획단 청년사업반
- 서울시 만19~39세 청년 5,513명 및 청년 거주 5,221가구 대상 조사, 심층인터뷰 병행
- 서울시 청년 중 고립·은둔청년 비율 4.5%로 파악… 최대 13만 명 추산
- 5년 이상 장기화 비율 41.2%로 높고, 고립·은둔 계기는 실직‧취업 어려움이 45.5%
- 실태조사 후,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 전문병원과 업무협약 체결 등 과학적‧체계적 사업 구조화
- 고립은둔, 마음건강 지원사업과 하나로 통합, 전국 최초 체계적 초기 진단분류 및 평가시스템 도입
- 종합적인 정책 컨트롤타워로서 (가칭)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조성, 고립은둔 청년의 종합적 케어 지원

# 보통 일어나서 휴대폰으로 SNS 하다가 밥먹고 집안일이나 할 일 있으면 하고. 평소 외출은 거의 잘 안하고 집에서 책읽고 아니면 잠을 많이 자요. 스트레스 회피성으로. (고립은둔 여성 A, 30)
 
# 생활비가 제일 고민이죠. 돈이 떨어지면 뭐라도 해야 되니까 제일 고민이고요. 그런데 걱정인 게, 돈이 떨어지면 취업을 나가야 되는데 취업을 해도 1년 넘게 다녀본 적이 거의 없어요. (고립은둔 여성 B, 30)
 
# 11시에 일어나 잠깐 밥 먹고 또 들어가서 유튜브 같은 거나 계속 보고 있어요. 밖에 잘 나오지도 않고요. 간식 먹으라 해도 안나와요. 자기가 새벽에 잠깐 간식 사놓고 자기 방에 두고 먹고 그러지. (고립은둔 청년 C씨의 부모, 50)
 
※ 실태조사 중 청년 및 가족 대상의 심층 인터뷰(FGI, IDI) 발췌 내용
☐ 서울시는 최근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과 분석을 위해 지난 ’225월부터 12월까지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를 전국 최초로 실시하고, 1.19() 결과를 발표했다.
 
☐ 서울시는 이미 ’20년부터 심리적 어려움, 취업 실패 등 다양한 이유로 사회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고립청년’, 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은둔청년의 사회복귀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밀착상담, 사례관리, 관계형성, 진로탐색, 취업역량강화, 공동생활, 예술치료, 자조모임 등)을 제공해왔다.
○ 특히, ’22년에는 ’21(298) 대비 2.5배가 넘는 총 757(고립청년 520, 은둔청년 237)을 발굴해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 고립청년에게는 진로탐색, 관계기술 등 프로그램을 886회 제공하여 1,165(중복참여 누계)이 참여했고, 은둔청년은 3,671(중복참여 누계)이 심리상담과 정서건강 등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 받았다. 특히, 은둔청년 20명은 실제 집 밖으로 나와 취업 및 일경험, 대학 진학 등 자립에 성공했다.

 
☐ 한편 지난 ’2112월「서울특별시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가 제정되었고, 이를 근거로 이번 실태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 이에 따라, 서울시는 아직 제도화되지 않은 초기 단계로서 고립·은둔청년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효과적인 지원대책까지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 근거가 확보됐다는 입장이다.
 
☐ 이번 조사는 고립·은둔청년의 규모 추정을 위한 가구조사(청년 상주하는 가구 대상)와 고립·은둔청년의 전반적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청년조사(서울시 일반청년 대상)로 나누어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또한 실제 고립·은둔 생활을 하는 당사자와 지원기관 실무자 대상으로 심층조사(FGI, IDI)까지 실시해 조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였다.
 
< 서울시 거주 청년 4.5%인 약 129천명 고립은둔 상태 추정 >
조사 결과,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청년 비율은 4.5%로 추정되며, 이를 서울시 인구에 적용할 경우 최대 129천명에 이를 것으로 산출된다.
○ 한편, 전국 청년(19~39세 기준) 대상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국내의 고립·은둔청년은 약 61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볼 수도 있다.
 
☐ 서울시는 조사과정에서 정밀한 기준 설정을 위해 고립, 은둔청년의 개념부터 정의했다. ‘고립은 현재 정서적 또는 물리적 고립상태에 놓인 자로 고립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되는 경우로, ‘은둔은 현재 외출이 거의 없이 집에서만 생활하며 은둔 상태가 최소 6개월 이상 유지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이 없던 경우로 규정했다.
※ 상세한 분류와 개념 정의는 붙임1 참조
 
< 실직과 취업의 어려움(45.5%)이 고립은둔생활을 하게 된 가장 큰 원인 >
☐ 고립·은둔 생활을 하게 된 계기는, 실직 또는 취업에 어려움(45.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심리적, 정신적인 어려움(40.9%)’, ‘다른 사람과 대화하거나 함께 활동하는 등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움(40.3%)’ 순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고립‧은둔청년은 서울시 청년 전체 평균보다 성인기 전후로 더 많은 부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는 가족 중 누군가가 정서적으로 힘들어했던 경험(62.1%)’, ‘집안 형편이 갑자기 어려워진 경험(57.8%)’, ‘지인으로부터 괴롭힘과 따돌림을 당했던 경험(57.2%)’ 등이 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인기 이후에는 원하던 시기에 취업을 못했거나(64.6%)’, ‘원했던 직장에 들어가지 못했던 경험(60.7%)’ 등 주로 취업 실패 등에 대한 경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편, 고립‧은둔청년 중 55.6%는 거의 외출을 하지 않고, 주로 집에서만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러한 생활의 지속기간은 ‘1년 이상~3년 미만(28.1%)’, ‘3년 이상~5년 미만(16.7%)’, ‘10년 이상(11.5%)’ 순으로 나타나, 은둔 생활이 5년 이상 장기화 된 청년 비율도 28.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 본인의 사회적, 경제적 수준을 낮다고 생각해 일반 청년과 인식차 커 >
☐ 고립‧은둔청년 중 본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보통보다 낮다고 응답한 비율이 64.7%이며, 이는 일반청년의 응답 31.4%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또한 본인의 경제적 수준도 매우 부족함(51.6%)’, ‘약간 부족함(33.5%)’으로 나타나 일반청년(15.2%, 35.6%)보다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 낮고, 약물 복용 비율 높아 위험 수준 우려 >
☐ 고립‧은둔청년은 자신의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해 43.2%가 나쁘다고 응답해, 일반청년(14.2%)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정신건강 관련 약물 복용 여부에 고립·은둔청년은 18.5%가 복용한다고 답해 일반청년 8.6%보다 2배 이상 높고, 고립·은둔청년 10명 중 8명은 가벼운 수준 이상의 우울(이중 중증수준 이상은 57.6%)을 겪고 있어, 우울증 예방관리, 진단·치료에 지원정책의 연계 필요성을 확인했다.


< 절반 이상은 고립은둔의 생활 극복 의지바우처 등 경제적 지원 요구(57.2%) 가장 높아 >
☐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10명 중 5(55.7%)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10명 중 4(43%) 이상은 실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 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를 위해 시도한 것으로는, ‘취미활동(31.1%)’, ‘일이나 공부(22.0%)’, ‘병원 진단 및 치료(15.4%)’, ‘심리상담(10.2%)’ 순으로 나타났다.
 
☐ 고립‧은둔청년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으로 경제적 지원(57.2%)’이 가장 높았으며, ‘취미, 운동 등의 활동(44.7%)’, ‘일자리나 공부 기회(42.0%)’, ‘심리상담(36.8%)’ 순으로 다양하게 밝혀졌다.
○ 특히,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어, 20대는 취미, 운동 등의 활동이나 심리상담’, 30대는 경제적 지원을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경제적 지원의 의미에 대해, 당사자와의 심층 인터뷰조사 결과, 고립·은둔생활 극복을 위해 필요한 의식주 차원의 지원을 언급했고, 지원방식은 단순 현금 지급보다는 바우처 형태의 지원을 희망했다.
 
또한 고립‧은둔청년 자녀를 둔 가족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으로 고립과 은둔에 대한 이해 프로그램(22.4%)’, ‘부모와 자식 간 가족 상담(22.1%)’이 높게 나타나, 가족의 경우에는 고립·은둔청년 자녀를 이해하고 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담이나 교육을 주로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태조사 최종보고서는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 참조
 
< 실태조사 등 반영해, 23.3월중 고립은둔청년 종합 지원계획 수립 >
☐ 한편, 서울시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고립·은둔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하여 지원 정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 첫째, 국내 최고 수준의 대학 전문병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할 예정으로, 이에 따라 지금까지 단순 상담에 의존해왔던 고립‧은둔사업을 과학화하고 체계화된 사업 형태로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 둘째, 이를 토대로 청년 마음건강 정책과 통합하고 사업을 고도화한다.
기존에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마음건강 지원사업과 고립‧은둔청년 사업 등을 모두 하나의 체계로 묶어 전국 최초로 체계적 초기진단 및 유형분류’, ‘심화상담과 프로그램 제공’, ‘전문기관 연계’, ‘사업평가 및 사후관리등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셋째, 고립‧은둔 청년을 토털 케어할 수 있는 종합 컨트롤타워로서 (가칭)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센터에서는 사업 참여자의 지속적 사후관리, 사업 성과평가, 전문가 자문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게 된다.

서울시는 이러한 방향성 아래, 실태조사 결과 등을 담아 사업을 설계하여 ’23.3월 중 종합적인 지원계획을 마련, 시행할 예정이다.

☐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고립‧은둔 청년의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당사자 중심의 섬세한 정책설계가 필요해졌고, 이에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실태조사를 시행해 유의미한 결과값을 확보했다.”라고 하며, “이제 고립·은둔청년이 실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해, 그 청년들이 다시 사회로 나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을 마련해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 상세한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현황 및 마음건강 사업 지원 정책 방향 등은 서울시 마음건강 전문가 자문단(연세대 엄소용 교수)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 문의 시 자세히 안내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