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1년… 함께하니 보육 품질 높아졌다
- ‘부부의날’ 저녁돌봄 호응, 공간문제로 어려웠던 워터에어바운스 공동대여 물놀이장 운영
- 절반 넘는 21개 공동체서 차량 공동사용…차량 없던 어린이집 체험활동 등 이동편의↑
- 모아어린이집 다니는 아동 비율 3.6%→3.9%, 모아어린이집 참여 가정어린이집 현원 4.8%↑
- 보육현장도 긍정적…어린이집은 운영비 절감, 보육교사는 전문성, 부모는 신뢰도 향상
□ 오세훈 시장의 대표 보육공약인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이 시행 1주년을 맞았다.
□ 가까운 거리에 있는 3~5개의 국공립‧민간‧가정 어린이집이 원아 모집, 교재‧교구 활용, 보육 프로그램‧현장학습 기획‧운영 등을 하나의 어린이집처럼 공동으로 하는 보육모델이다. 보육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육서비스의 품질을 높인다는 목표로 출범했다.
○ 작년 8월 8개 자치구, 14개 공동체, 58개 어린이집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 데 이어서, 올해는 25개 전 자치구, 40개 공동체, 160개 어린이집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올해 2월 실시했던 공개모집에는 79개 공동체 316개 어린이집이 신청해 3.2: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은 하나의 보육공동체로 운영함으로써 국공립에만 치우치는 입소대기 문제를 해소하고, 공동체 내 민간‧가정어린이집에서도 국공립과 동일한 수준의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실제로 시가 지난 1년여 간의 운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개별 어린이집에서는 어려웠던 창의적인 보육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시도됐고, 각 어린이집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 공간, 차량 등을 서로 함께 이용해 효과를 낸 사례들이 돋보였다.
□ 예컨대, 은평구 ‘우리누리공동체’에서는 부부의날(5.21.)에 엄마아빠가 자유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아이를 저녁 8시까지 돌봐주는 행사를 열어 호응을 얻었다. 오는 9월 2차 행사를 열 계획이다. 동대문구 ‘상생공동체’에서는 소규모어린이집에서 그동안 공간 등 문제로 대여하기 어려웠던 워터에어바운스(water AirBouncer)를 공동으로 대여해 물놀이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 (양천구 이음공동체) 구청에서 실시하는 ‘도시농업공원의 꼬마농부’ 분양텃밭을 공동체 내 어린이집이 함께 사용하고, 텃밭으로 이동할 때는 민간 어린이집에서 보유하고 있는 차량을 함께 이용하고 있다.
○ (송파구 방이공동체) 공동체의 아이디어를 모아 실제 시장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이시장과 함께하는 시장놀이’를 지난 6월 시행하였다. 환전을 통해 재료들을 직접 아동들이 구매하는 것으로, 시장상인회 및 부모의 호응이 좋아 하반기에도 개최할 예정이다.
○ (성동구 무지개공동체) 요리체험과 생태활동을 접목해 직접 기른 채소로 나박김치, 야채피클, 청귤청, 두부 등을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또한, 구청에서 실시하는 숲체험 프로그램에도 공동체 단위로 함께 참여하고 있다.
○ 이밖에도 ‘도봉구 우아미공동체’에서는 개별 어린이집에서 해왔던 성품 관련 활동들을 공유하고 부모참여수업을 개최했다. ‘강동구 명일공동체’는 한 참여 어린이집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는 ‘부모가 아이에게 1일1권 책 읽어주기 캠페인(50일 캘린더)’을 공동체 내로 전파해 운영 중이며, 연말에는 공동 사진전과 수기공모전도 열 예정이다.
□ 특히, 차량이 없어 체험학습 등에 어려움을 겪었던 어린이집은 공동체의 다른 어린이집 차량을 함께 이용해 외부활동의 효율성이 크게 좋아졌다. 현재 절반이 넘는 21개 공동체에서 차량을 공동이용하고 있다.
○ 16개 공동체에서는 입소대기자를 공동체 내에서 조정함으로써 국공립에 쏠리는 수급불균형을 완화하고 조기입소에 기여했다.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공동체 내에서 연령별 반 편성을 유기적으로 조정한 사례도 있었다.
□ 서울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중 서울형 모아어린이집(160개소)에 다니는 아동의 비율도 1년 새 늘었다('21.7. 3.6%→'22.7. 3.9%).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전체 민간어린이집(1,203개소) 중 서울형 모아어린이집(44개소)에 다니는 아이들의 비율이 3.7%에서 4.2%로 증가했다.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참여하는 가정어린이집(45개소)은 참여 전인 1년 전과 비교해 현원이 4.8%(703명→737명) 증가했다.
□ 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대한 선호도와 호응이 확대돼 같은 기간 영유아 인구 감소(32만71명→29만1,707명 *8.9%↓)로 어린이집 전체현원이 9.8% 감소한 상황에서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성과분석을 위해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실시한 이용자의 면접조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부모님 모두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이 적어 운영이 어려웠던 어린이집은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통해 운영비 절감, 현원 증가 등 도움을 받았고, 보육교사는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평했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보다 폭넓게 경험하고 교류하는 것을 보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 (원장) 공동구매·공동운영으로 운영비 절감, 입소대기자 조정으로 현원 증가
→ “시간대를 나눠서 시장놀이도 하고 인형극도 타임별로 하다보니, 비용도 적게들고 아이들에게는 경험의 기회도 줄 수 있었음”(원장A)
→ “11월에 저희 어린이집에 상담 오신 부모님의 자녀 2명을 같은 공동체인 ㄱ어린이집에 보냈고, 12월에는 쌍둥이 영아 2명을 같은 공동체인 ㄴ어린이집에 보내 입소대기 문제를 해소했음.”(원장B)
# (보육교사) 보육의 애로사항 공유, 보육 노하우 공유, 전문가 역량
→ “회의를 어린이집을 돌아가면서 함으로써 조금 더 넓은 세상을 만난다는 게 좋았음. 사실 교사들은 다른 어린이집에 방문한다는 것이 어려운데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하면서 자연스럽게 보면서 할 수 있었음”(교사A)
→ “생태친화 보육을 처음하려니 막막했는데, 다른 어린이집에서 먼저 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여 같이 함께 해볼 수 있었다는게 좋았고, 그런 것만으로도 충분히 아이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교사B)
# (부모)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도 향상
→ “가정어린이집이라 소풍을 가기 어려웠을텐데 공동체에서 대규모로 함께 할 수 있어서 좋았음”(양육자A)
→ “아이들은 새로운 걸 항상 좋아하니까 어린이집끼리 에어바운스 같은 교재교구를 빌려 쓰면서 다양하게 경험하게 되어 좋았음.(양육자B)
# (유아) 사회관계 확대 기회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활동을 통해 다른 어린이집 친구들을 접하게 되면서 새로운 사람하고의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서 도전과 시도를 해보면서 사회성에 도움이 되어 좋았음.”(양육자 C)
□ 서울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이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들을 정리한 ‘(가칭)모아에 모이니 이렇게 달라지네’ 코너를 이달 말 서울특별시보육포털서비스(https://iseoul.seoul.go.kr)에 개설한다.
○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표준보육과정과 연계한 일반적인 보육-수업과는 차별화되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만의 참신한 보육프로그램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공동체 상생‧협력방식의 이점을 알아보고 초저출생 시대 어린이집의 운영 방향성 설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각 공동체별로 준비한 다채로운 행사도 개최될 예정이다.
○ 영등포구 ‘양평star공동체’는 9월29일 공동체 온가족이 참여하는 미술관‧전시관 감상 행사를 열고, 송파구 ‘위례공동체’는 9월24일 가족걷기대회를 진행한다. 중랑구 ‘운김공동체’에서는 모아활동에 대한 사진전시회를 8.31부터 9.1까지 개최한다.
□ 한편, 서울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출범 당시 참여 대상이었던 국공립‧민간‧가정어린이집뿐만 아니라 법인단체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등 모든 유형으로 확대했다. 공모에서 선정되지 못한 그룹 중 희망 시설(42개 공동체, 178개 어린이집)에는 공동체 사전육성(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참여 대상 확대는 작년 12월 개최한 2021년 성과보고회에서 참여기회 확대에 대한 목소리가 컸던 점을 반영한 것이다.
○ 공동체 사전육성 서비스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운영매뉴얼을 통해 공동체 운영방식을 배우고, 기존에 선정돼 운영중인 공동체와 멘토-멘티로 결연을 통한 현장중심의 조언과 함께 서울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컨설팅교육이 제공된다.
□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과 별도로 운영되던 생태친화어린이집과 다함께보육어린이집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필수 프로그램으로 통합하고, BI 개발로 브랜드화 및 타 지자체 확산에도 나서고 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필수 프로그램 통합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놀이과정 분야에 대한 보육교직원 컨설팅을 추가하는 등 프로그램의 내실을 강화하고 있다.
○ 또한, 시는 기존 명칭이었던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이 사업의 취지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점을 반영해 올해 3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새로운 이름과 함께 BI를 개발하고 현판도 부착했다. 브랜드화 및 타 지자체 확산을 위해 운영매뉴얼과 리플릿도 제작 배포했다.
□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지난 1년여간 추진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운영성과가 보육현장의 실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했음을 보람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양적 및 질적으로 더욱 확대시켜 ‘아이 키우기 좋은 서울, 엄마아빠가 행복한 서울’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절반 넘는 21개 공동체서 차량 공동사용…차량 없던 어린이집 체험활동 등 이동편의↑
- 모아어린이집 다니는 아동 비율 3.6%→3.9%, 모아어린이집 참여 가정어린이집 현원 4.8%↑
- 보육현장도 긍정적…어린이집은 운영비 절감, 보육교사는 전문성, 부모는 신뢰도 향상
□ 오세훈 시장의 대표 보육공약인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이 시행 1주년을 맞았다.
□ 가까운 거리에 있는 3~5개의 국공립‧민간‧가정 어린이집이 원아 모집, 교재‧교구 활용, 보육 프로그램‧현장학습 기획‧운영 등을 하나의 어린이집처럼 공동으로 하는 보육모델이다. 보육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보육서비스의 품질을 높인다는 목표로 출범했다.
○ 작년 8월 8개 자치구, 14개 공동체, 58개 어린이집에서 시범운영을 시작한 데 이어서, 올해는 25개 전 자치구, 40개 공동체, 160개 어린이집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올해 2월 실시했던 공개모집에는 79개 공동체 316개 어린이집이 신청해 3.2: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은 하나의 보육공동체로 운영함으로써 국공립에만 치우치는 입소대기 문제를 해소하고, 공동체 내 민간‧가정어린이집에서도 국공립과 동일한 수준의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실제로 시가 지난 1년여 간의 운영성과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개별 어린이집에서는 어려웠던 창의적인 보육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시도됐고, 각 어린이집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과 공간, 차량 등을 서로 함께 이용해 효과를 낸 사례들이 돋보였다.
□ 예컨대, 은평구 ‘우리누리공동체’에서는 부부의날(5.21.)에 엄마아빠가 자유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아이를 저녁 8시까지 돌봐주는 행사를 열어 호응을 얻었다. 오는 9월 2차 행사를 열 계획이다. 동대문구 ‘상생공동체’에서는 소규모어린이집에서 그동안 공간 등 문제로 대여하기 어려웠던 워터에어바운스(water AirBouncer)를 공동으로 대여해 물놀이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 (양천구 이음공동체) 구청에서 실시하는 ‘도시농업공원의 꼬마농부’ 분양텃밭을 공동체 내 어린이집이 함께 사용하고, 텃밭으로 이동할 때는 민간 어린이집에서 보유하고 있는 차량을 함께 이용하고 있다.
○ (송파구 방이공동체) 공동체의 아이디어를 모아 실제 시장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방이시장과 함께하는 시장놀이’를 지난 6월 시행하였다. 환전을 통해 재료들을 직접 아동들이 구매하는 것으로, 시장상인회 및 부모의 호응이 좋아 하반기에도 개최할 예정이다.
○ (성동구 무지개공동체) 요리체험과 생태활동을 접목해 직접 기른 채소로 나박김치, 야채피클, 청귤청, 두부 등을 만들어보는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또한, 구청에서 실시하는 숲체험 프로그램에도 공동체 단위로 함께 참여하고 있다.
○ 이밖에도 ‘도봉구 우아미공동체’에서는 개별 어린이집에서 해왔던 성품 관련 활동들을 공유하고 부모참여수업을 개최했다. ‘강동구 명일공동체’는 한 참여 어린이집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는 ‘부모가 아이에게 1일1권 책 읽어주기 캠페인(50일 캘린더)’을 공동체 내로 전파해 운영 중이며, 연말에는 공동 사진전과 수기공모전도 열 예정이다.
□ 특히, 차량이 없어 체험학습 등에 어려움을 겪었던 어린이집은 공동체의 다른 어린이집 차량을 함께 이용해 외부활동의 효율성이 크게 좋아졌다. 현재 절반이 넘는 21개 공동체에서 차량을 공동이용하고 있다.
○ 16개 공동체에서는 입소대기자를 공동체 내에서 조정함으로써 국공립에 쏠리는 수급불균형을 완화하고 조기입소에 기여했다.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공동체 내에서 연령별 반 편성을 유기적으로 조정한 사례도 있었다.
□ 서울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중 서울형 모아어린이집(160개소)에 다니는 아동의 비율도 1년 새 늘었다('21.7. 3.6%→'22.7. 3.9%).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전체 민간어린이집(1,203개소) 중 서울형 모아어린이집(44개소)에 다니는 아이들의 비율이 3.7%에서 4.2%로 증가했다.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참여하는 가정어린이집(45개소)은 참여 전인 1년 전과 비교해 현원이 4.8%(703명→737명) 증가했다.
□ 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대한 선호도와 호응이 확대돼 같은 기간 영유아 인구 감소(32만71명→29만1,707명 *8.9%↓)로 어린이집 전체현원이 9.8% 감소한 상황에서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성과분석을 위해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실시한 이용자의 면접조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부모님 모두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이 적어 운영이 어려웠던 어린이집은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통해 운영비 절감, 현원 증가 등 도움을 받았고, 보육교사는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평했다. 부모들은 아이들이 보다 폭넓게 경험하고 교류하는 것을 보면서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 (원장) 공동구매·공동운영으로 운영비 절감, 입소대기자 조정으로 현원 증가
→ “시간대를 나눠서 시장놀이도 하고 인형극도 타임별로 하다보니, 비용도 적게들고 아이들에게는 경험의 기회도 줄 수 있었음”(원장A)
→ “11월에 저희 어린이집에 상담 오신 부모님의 자녀 2명을 같은 공동체인 ㄱ어린이집에 보냈고, 12월에는 쌍둥이 영아 2명을 같은 공동체인 ㄴ어린이집에 보내 입소대기 문제를 해소했음.”(원장B)
# (보육교사) 보육의 애로사항 공유, 보육 노하우 공유, 전문가 역량
→ “회의를 어린이집을 돌아가면서 함으로써 조금 더 넓은 세상을 만난다는 게 좋았음. 사실 교사들은 다른 어린이집에 방문한다는 것이 어려운데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하면서 자연스럽게 보면서 할 수 있었음”(교사A)
→ “생태친화 보육을 처음하려니 막막했는데, 다른 어린이집에서 먼저 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시행착오를 줄여 같이 함께 해볼 수 있었다는게 좋았고, 그런 것만으로도 충분히 아이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교사B)
# (부모) 어린이집에 대한 신뢰도 향상
→ “가정어린이집이라 소풍을 가기 어려웠을텐데 공동체에서 대규모로 함께 할 수 있어서 좋았음”(양육자A)
→ “아이들은 새로운 걸 항상 좋아하니까 어린이집끼리 에어바운스 같은 교재교구를 빌려 쓰면서 다양하게 경험하게 되어 좋았음.(양육자B)
# (유아) 사회관계 확대 기회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활동을 통해 다른 어린이집 친구들을 접하게 되면서 새로운 사람하고의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서 도전과 시도를 해보면서 사회성에 도움이 되어 좋았음.”(양육자 C)
□ 서울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이기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들을 정리한 ‘(가칭)모아에 모이니 이렇게 달라지네’ 코너를 이달 말 서울특별시보육포털서비스(https://iseoul.seoul.go.kr)에 개설한다.
○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표준보육과정과 연계한 일반적인 보육-수업과는 차별화되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만의 참신한 보육프로그램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공동체 상생‧협력방식의 이점을 알아보고 초저출생 시대 어린이집의 운영 방향성 설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각 공동체별로 준비한 다채로운 행사도 개최될 예정이다.
○ 영등포구 ‘양평star공동체’는 9월29일 공동체 온가족이 참여하는 미술관‧전시관 감상 행사를 열고, 송파구 ‘위례공동체’는 9월24일 가족걷기대회를 진행한다. 중랑구 ‘운김공동체’에서는 모아활동에 대한 사진전시회를 8.31부터 9.1까지 개최한다.
□ 한편, 서울시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출범 당시 참여 대상이었던 국공립‧민간‧가정어린이집뿐만 아니라 법인단체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등 모든 유형으로 확대했다. 공모에서 선정되지 못한 그룹 중 희망 시설(42개 공동체, 178개 어린이집)에는 공동체 사전육성(인큐베이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참여 대상 확대는 작년 12월 개최한 2021년 성과보고회에서 참여기회 확대에 대한 목소리가 컸던 점을 반영한 것이다.
○ 공동체 사전육성 서비스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운영매뉴얼을 통해 공동체 운영방식을 배우고, 기존에 선정돼 운영중인 공동체와 멘토-멘티로 결연을 통한 현장중심의 조언과 함께 서울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컨설팅교육이 제공된다.
□ 또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과 별도로 운영되던 생태친화어린이집과 다함께보육어린이집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필수 프로그램으로 통합하고, BI 개발로 브랜드화 및 타 지자체 확산에도 나서고 있다.
○ 서울형 모아어린이집 필수 프로그램 통합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놀이과정 분야에 대한 보육교직원 컨설팅을 추가하는 등 프로그램의 내실을 강화하고 있다.
○ 또한, 시는 기존 명칭이었던 ‘서울형 공유어린이집’이 사업의 취지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점을 반영해 올해 3월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새로운 이름과 함께 BI를 개발하고 현판도 부착했다. 브랜드화 및 타 지자체 확산을 위해 운영매뉴얼과 리플릿도 제작 배포했다.
□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지난 1년여간 추진된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의 운영성과가 보육현장의 실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했음을 보람있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서울형 모아어린이집을 양적 및 질적으로 더욱 확대시켜 ‘아이 키우기 좋은 서울, 엄마아빠가 행복한 서울’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