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배경이미지:  한옥 보전 및 진흥
			
			한옥 보전 및 진흥
		
				
		
		
	
한옥의 정의 및 보전 정책 비전
한옥의 정의
- 기둥 및 보가 목구조방식이고 한식지붕틀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짚,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축물을 말한다.
- 주요구조부가 목조구조로써 한식기와를 사용한 건축물중 전통미를 간직하고 있는 건축물과 그 부속시설을 말한다.
한옥 보존 및 진흥의 정책 비전
- 한옥의 보전 및 진흥에 대한 지원 등을 통하여 역사문화도시 서울 고유의 도시경관을 보전·회복하고, 서울의 역사적 정체성을 지키고 문화 경쟁력을 강화한다.
 
추진배경
- 
도시관리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도시개발 → 도시관리- 
도시 정체성에 대한 위기 의식 - 
과거 급격한 성장과 개발시대의 건축 및 도시개발로 인해 서울만의 도시정체성이 사라져가고 있다는 위기 의식 대두 
 
- 
 
- 
- 
역사도시경관 및 자연경관을 존중하는 계획수립 요구- 
서울의 대표적 경관인 내사산, 궁궐 등 문화재 인근의 한옥밀집지역에 대하여 역사문화경관 및 자연경관을 존중하는 합리적 계획수립 요구 
 
- 
- 
주택유형 다양화 필요성- 
아파트 위주의 주거유형 획일화 
- 
아파트 일변도로 주택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다양한 삶을 담아낼 수 있는 선택 가능한 주거 축소 
 
- 
- 
한옥에 대한 인식변화- 
친환경주택 한옥에 대한 관심 증대 
- 
불편하다고 인식되었던 한옥이 설비기술 향상으로 친환경 주택으로의 인식 변화 
 
- 
- 
우리 고유의 주거유형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 증대- 
오랜 시간동안 우리의 풍토와 인문적 여건에 맞게 진화‧발전되어 온 한옥을 재조명하는 시각이 많아지고 있고 한옥거주를 희망하는 내‧외국인 증가 
 
- 
추진경위
- 2000.10.09 : 북촌마을 가꾸기 사업 추진계획 (시장방침 제1002호)
- 2002.05.20 : 서울특별시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제정
- 2002.07.02 : 한옥밀집지역 지정 (북촌)
- 2006.05.03 : 북촌 장기발전 추진계획 (시장방침 제169호)
- 2008.12.23 : 「서울 한옥선언」-한옥주거지 보전 및 진흥계획 (시장방침 제735호)
- 2009.03.05 : 한옥밀집지역 지정 확대 (운현궁 주변, 인사동, 돈화문로)
- 2009.05.28 : 서울특별시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개정 (보조금․융자금 상향조정)
- 2010.06.24 : 경복궁 서측 지역 「한옥밀집지역」 지정 확대 (경복궁 서측)
- 2011..07.19: 은평뉴타운에 100여동‘은평 한옥마을’조성 추진
- 2016.01: 서울명품한옥 및 한옥장인 인증제 추진
♦ 「서울 한옥선언」의 의미
- 2008년 12월 서울시는 '18년까지 3,700억원을 들여 4,500동(4대문 안 3,100동, 4대문 밖 1,400동)의 한옥을 보전 및 진흥하겠다는 「서울 한옥선언」을 발표함으로써 ‘한옥 부흥시대’의 개막을 선포한 바 있다.
- 한옥밀집지역 확대 지정은 「서울 한옥선언」의 단기(‘09~ ‘10)사업대상구역 중 마지막 구역인 경복궁 서측 지역을 대상으로 한옥밀집지역을 확대한 것으로써, 제2의 북촌으로 부상하게 될 경복궁 서측 지역 한옥의 무분별한 멸실의 속도를 늦추고 그동안 침체되어 있던 한옥밀집지역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함.
- 또한, 이번 지정을 통해 우리나라 대표 궁궐인 경복궁과 서울의 내사산인 인왕산 사이 경관을 회복하여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역사문화도시 서울, 지속가능한 도시 서울로서의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명품한옥 및 한옥 장인 인증제」 추진 목적
- 한옥의 멸실을 막는 기존의 정책에 더하여 서울시 전역의 일상한옥의 실현의 목표에 맞게 한옥관련 산업생태계 지원 및 지속 가능한 시스템 구축
- 좋은 한옥과 한옥 장인의 발굴·관리·보전을 통한 고품격·고품질 한옥 건축 환경 조성
- 서울한옥의 모범 제시에 따른 고품격, 고품질 한옥건축 환경 유도
- 인증한옥 소유자, 한옥장인의 자부심 및 책임의식 고취
- 한옥장인 인증을 통한 고급 기술력 확보
정책소개
- 
정책 목표
한옥 보전 10개년 목표서정: 총 4,500동 보전 수립
<자료 출처: 서울시 보도자료_ 역사도시 서울을 만드는 한옥보전_2015.3.27>
- 
정책특징/전략- 
한옥주거지 보전을 통한 역사문화도시 서울의 독특한 도시경관 회복 
- 
품격있고 아름다운 우리 주거문화 한옥의 육성을 통한 주거유형의 다양화 실현 
- 
침체되어 있던 한옥주거지 활성화를 통한 서울의 문화경쟁력 창출 
 
- 
- 
세부사업- 
한옥 수선 및 신축 지원, 한옥 매입 및 활용, 은평한옥마을 조성, 골목길 환경 정비, 한옥보전형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관리, 한옥밀집지역 지정 등 
 
- 
- 
추진내역- 
한옥 수선 및 신축 지원- 
지원규모 : 최대 1억원 범위 내에서 보조 및 융자지원 
- 
지원실적 : 01년~13년 보조금 총 13,063백만원(398건), 융자금 총 5,416백만원(235건) 
 
- 
 
- 
지원범위
1.한옥의 전면수선 등의 경우
- - 한옥의 외관의 경우 : 공사비용의 2/3범위 안에서 최대 6천만원까지 보조지원
- - 한옥의 내부의 경우 : 공사비용의 범위 안에서 최대 4천만원까지 융자지원
2.비한옥을 한옥으로 신축하는 경우
- - 한옥의 외관의 경우 : 공사비용의 2/3범위 안에서 최대 8천만원까지 보조지원
- - 한옥의 내부의 경우 : 공사비용의 범위 안에서 최대 2천만원까지 융자지원
3.한옥의 부분수선인 경우
- 제1호 또는 제2호로 지원을 받아 5년이 경과한 등록한옥의 지붕 등을 수선할 경우 공사비용의 범위 안에서 최대 1천만원까지 보조 지원
•융자조건 : 3년 거치 10년 균등분할상환, 금리 무이자(단, 제반세금 및 은행수수료비용 연1%)
 
- 
한옥 매입 및 활용
- 한옥밀집지역 내 한옥 등 매입, 매입자산 개보수 및 관리
| 구 분 | 계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매입 | 28건 | 1 | 3 | 4 | 7 | 3 | 5 | 2 | - | 1 | - | 2 | |||||||
| 활용 | 전통 | 한옥체험관 | 복지 | 전시관 | 소공원 | 주차장 | 백인제가 | 기 타 | |||||||||||
| 12 | 3 | 1 | 1 | 1 | 2 | 2 | 6 | ||||||||||||
- 
	은평한옥마을 조성- 위 치 : 은평구 진관동 은평뉴타운 제3-2지구내 단독주택부지
- 조성규모 : 약 52,000㎡
- 한옥규모 : 156필지 (30~100평형)
- 공급방법 : SH공사 토지분양 후 개별 한옥건축
 
- 
	골목길 환경 정비
- 사업내용: 전신주 지중화, 도로 지장물 정비 및 포장 등
- 실 적: 총 3,734m, 12,821백만원 투입
- 
	한옥골목길 조성 사업
- 서울시는 경복궁 서측 지구단위계획구역내 이들 2개 골목길(총 390m)을 '한옥 골목길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
-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후, 주민의견을 수렴해 주변 한옥과 어울리는 바닥재와 담벼락으로 정비하고, 전신주와 전선은 지하에 매설해 도시미관을 개선함.
- 골목길 주변 한옥주택의 개보수 및 일반주택의 한옥 신축을 지원하고 CCTV 설치 등 범죄예방환경 도입도 검토 중이며, 주민들이 함께 이용하는 쌈지공원과 쌈지텃밭도 조성할 계획임.
- 특히, 이 골목길들은 18세기 조선 영조시대에 제작된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 속 옛길과도 일치하는 역사적인 골목길이자, 인왕산 등 주변 경관과 잘 어우러져 보전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받음.
- - 누하동 골목길(누하동 191~78, 연장 170m) : 옛길과 필지 등 오래된 도시조직이 잘 남아있는 골목으로 위로는 수성동계곡과 이어지는 옥인길 그리고 필운대로와 인접합니다. 인왕산을 배경으로 한옥과 자연경관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평가받습니다.
- - 체부동 골목길(체부동 7~88, 연장 220m) : 본래 물길이었던 자하문로7길과 나란히 뻗어 그 주변으로 많은 수의 한옥들이 밀집돼있으며, 현재 한옥 신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인 점이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 한옥 골목길 조성사례 예시 >
<그림출처: 200년 역사 누하동·체부동 옛길 '한옥골목길'로 보전_2016.7.12>
< 18세기 제작된 도성대지도상 대상지의 위치 >
<그림출처: 200년 역사 누하동·체부동 옛길 '한옥골목길'로 보전_2016.7.12>
< 경복궁 서측 지구단위구역 내 사업대상지(2개소) 현황 >
<그림출처: 서울시 보도자료_200년 역사 누하동·체부동 옛길 '한옥골목길'로 보전_2016.7.12>
- 
	한옥보전형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관리
| 구 분 | 인 사 동 | 북 촌 | 돈화문로 | 경복궁서측 | 운현궁/조계사 | |
|---|---|---|---|---|---|---|
| 위 치 | 종로구 인사동, 관훈동 일대 | 종로구 가회동, 삼청동 일대 | 종로구 권농동, 와룡동 일대 | 종로구 체부동, 효자동 일원 | 종로구 견지동, 운니동 일대 | |
| 면 적(㎡) | 124,068 | 1,128,372 | 147,860 | 582,297 | 214,507 | |
| 공공 사업 | 종 류 | 4개 분야 14개 사업 | 5개 분야 36개 사업 | 4개 분야 13개 사업 | 6개 분야 20개 사업 | 3개 분야 6개 사업 | 
| 사업비(억원) | 628 | 688 | 720 | 633 | (사업제안) | |
| 고 시 일 | ‘09.12.10. | ‘10.1.21. | ‘10.2.25. | ‘10.4.15. | ‘13.6.13. | |
| 비 고 | 재정비 | 신규 | 재정비 | 신규 | 재정비 | |
- 
	한옥밀집지역 지정
| 구 분 | 계 | 인 사 동 | 북 촌 | 돈화문로 | 경복궁서측 | 운 현 궁 | |||||||
|---|---|---|---|---|---|---|---|---|---|---|---|---|---|
| 면 적(㎡) | 2,144,363 | 122,200 | 1,076,302 | 137,430 | 582,297 | 226,134 | |||||||
| 건축물 현황(동) | 6,572 | 471 | 2,782 | 715 | 2,136 | 468 | |||||||
| 한옥 | 비한옥 | 2,358 | 4,214 | 158 | 313 | 1,233 | 1,549 | 146 | 569 | 668 | 1,468 | 153 | 315 | 
| 지정·공고일 | - | ‘09.3.5. | ‘02.7.2.(1차) ‘08.7.31.(2차) | ‘09.3.5. | ‘10.6.24. | ‘09.3.5. | |||||||
결과 및 평가
- 
서울시 한옥 동수 : 11,776동('14년 서울연구원 조사결과)
| 자치구 | 한옥 수량(동수) | 비중(%) | 
| 종로구 | 4,143 | 35.18 | 
| 성북구 | 2,749 | 23.34 | 
| 동대문구 | 1,643 | 13.95 | 
| 마포구 | 884 | 7.51 | 
| 중구 | 743 | 6.31 | 
| 서대문구 | 542 | 4.60 | 
| 용산구 | 481 | 4.08 | 
| 성동구 | 187 | 1.59 | 
| 동작구 | 148 | 1.26 | 
| 영등포구 | 123 | 1.04 | 
| 강북구 | 41 | 0.35 | 
| 은평구 | 29 | 0.25 | 
| 중랑구 | 18 | 0.15 | 
| 노원구 | 14 | 0.12 | 
| 구로구 | 8 | 0.07 | 
| 도봉구 | 8 | 0.07 | 
| 광진구 | 6 | 0.05 | 
| 서초구 | 5 | 0.04 | 
| 금천구 | 1 | 0.01 | 
| 관악구 | 1 | 0.01 | 
| 양천구 | 1 | 0.01 | 
| 강동구 | 1 | 0.01 | 
| 강남구 | - | - | 
| 강서구 | - | - | 
| 송파구 | - | - | 
| 계 | 11,776 | 100 | 
<자료출처: http://hanok.seoul.go.kr/front/kor/info/infoData.do>
- 
서울시 멸실 한옥의 추이 감소
| 구 분 | 2006년 | 2008년 | 2013년 | 2014년 | 멸실한옥 | 
|---|---|---|---|---|---|
| 서울시 전체 | 22,672 | 13,703 | 10,200 | 11,195 | 12,472 | 
| 한양도성 안 | 4,587 | 3,654 | 3,054 | 3,380 | 1,533 | 
| 한양도성 밖 | 17,815 | 10,049 | 7,146 | 7,815 | 10,939 | 
- 
북촌 등 한옥마을 방문객 증가
.bmp)
- 
한옥에 대한 국내.외 관심 증가
| 미국에서 한옥 전시회 개최 | 전주 등 타 지자체로 확산 | 일반인 대상 한옥교육 증가 | 
|---|---|---|
| 
 | 
 | 
 | 
참고 자료
FAQ
- 
					Q.서울시에서는 왜 한옥에 대한 보전 및 지원을 하고 있는지?
					A. 답변내용한국의 대외적 경제성장 및 소득수준 향상과 더불어 역사, 전통, 문화, 예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한옥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지난 10여년간 서울시의 한옥 보전 및 진흥 정책을 통해 한옥에 대한 인식이 ‘친환경’, ‘웰빙’ 주택이라는 이미지로 크게 변화하였으며, 특히 외국인으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고 있다. 서울시의 한옥 보전 및 진흥 정책은 구도심부에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고, 우리 고유의 건축문화인 한옥을 후손에게 넘겨줄 자산으로 가꾸기 위한 미래 지향적인 사업이자 역사문화도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정책이다. 
추진조직 및 연락처
- 주택건축국 한옥조성과 한옥문화팀 / 02-2133-5582
- 해외도시협력담당관 / 02-2133-5264 / international@seoul.go.kr
- 서울연구원 글로벌미래연구센터 / 02-2149-1418 / ssunha@si.re.kr

.bm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