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유모차 다니기 편한 길 알려드려요… 서울동행맵 정식 출시
- 맞춤형 교통정보 제공 앱, 11월 1일(금) 정식 서비스… 시민 일상 속 ‘약자와의 동행’ 실현
-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 노선‧승하차 정류장까지 지정 가능
- 장애인복지콜‧장애인콜택시‧엄마아빠택시 등 교통수단 예약 가능, 시각‧색약자 배려 디자인 구성
- 단차‧경사 피하고, 승강기 이용 등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편의시설 정보도 제공
-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 노선‧승하차 정류장까지 지정 가능
- 장애인복지콜‧장애인콜택시‧엄마아빠택시 등 교통수단 예약 가능, 시각‧색약자 배려 디자인 구성
- 단차‧경사 피하고, 승강기 이용 등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편의시설 정보도 제공
□ 어르신, 장애인, 임산부는 물론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가 이동하기 쉬운 맞춤 길 안내부터 대중교통 정류장 위치와 편의시설 등 교통정보까지 한곳에서 제공하는 ‘서울동행맵 ’이 11월 1일(금) 오전 10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울시정 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의 가치를 시민 생활 속에서 구현한 교통약자 맞춤형 앱이다.
□ 서울시는 지난 4월 시범 운영을 시작한 ‘서울동행맵’의 콘텐츠, 이용범위와 디자인 등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한 후 다음 달 정식 출시한다고 31일(목) 밝혔다.
□ ‘서울동행맵’은 그간 여러 플랫폼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교통약자 맞춤형 이동동선과 보행불편 지점 안내, 위치기반 교통수단 예약, 편의시설 이용 정보 제공 등을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다.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 노선‧승하차 정류장까지 지정 가능>
□ ‘서울동행맵’의 첫 번째 기능은 바로 ‘실시간 위치기반 저상버스 예약’이다. 이용자가 앱에서 버스 정보 검색 후 노선과 승‧하차 정류소를 예약하면 해당 버스가 이용자 대기 정류소 50m범위 내 도착 시 예약정보가 버스기사에게 전달되는 방식이다. 예약정보를 받은 버스 기사는 리프트 이용 준비와 승객 안내방송 등을 실시한다.
□ 시범운영 시에는 버스가 예약자 30m 반경에 접어들었을 때 기사에게 정보를 전송했지만,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의 경우 정류소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시간 등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본 서비스에선 예약정보 전송 범위를 정류소 50m로 넓혔다.
○ (이용방법) 회원가입 → 노선 및 승‧하차 정류소 예약 → 승차 정류소 50m 이내 도착 → 예약정보가 버스로 전달 → 버스 기사 인지 및 승객 사전 안내
□ 아울러 시는 장애인 이용자가 대부분인 저상버스 예약시스템을 영유아를 동반한 유모차 이용자 등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수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대시민 홍보를 병행할 계획이다.
<장애인복지콜, 엄마아빠택시 등 교통수단 예약도 가능, 시각‧색약자 배려 디자인 구성>
□ 둘째, 장애인콜택시 등 교통약자의 이동을 돕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따로 찾을 필요 없이 서울동행맵 한 곳에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다. 시범기간 제공하던 ‘장애인콜택시’에 ‘엄마아빠택시’와 시각장애인 이동 지원 ‘장애인 복지콜’까지 추가로 연계했다.
□ 서울시는 지난 4월 시범 운영을 시작한 ‘서울동행맵’의 콘텐츠, 이용범위와 디자인 등을 더욱 편리하게 개선한 후 다음 달 정식 출시한다고 31일(목) 밝혔다.
□ ‘서울동행맵’은 그간 여러 플랫폼에서 개별적으로 운영하던 교통약자 맞춤형 이동동선과 보행불편 지점 안내, 위치기반 교통수단 예약, 편의시설 이용 정보 제공 등을 한곳에서 서비스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다.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저상버스 예약 서비스, 노선‧승하차 정류장까지 지정 가능>
□ ‘서울동행맵’의 첫 번째 기능은 바로 ‘실시간 위치기반 저상버스 예약’이다. 이용자가 앱에서 버스 정보 검색 후 노선과 승‧하차 정류소를 예약하면 해당 버스가 이용자 대기 정류소 50m범위 내 도착 시 예약정보가 버스기사에게 전달되는 방식이다. 예약정보를 받은 버스 기사는 리프트 이용 준비와 승객 안내방송 등을 실시한다.
□ 시범운영 시에는 버스가 예약자 30m 반경에 접어들었을 때 기사에게 정보를 전송했지만,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자의 경우 정류소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서 대기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시간 등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본 서비스에선 예약정보 전송 범위를 정류소 50m로 넓혔다.
○ (이용방법) 회원가입 → 노선 및 승‧하차 정류소 예약 → 승차 정류소 50m 이내 도착 → 예약정보가 버스로 전달 → 버스 기사 인지 및 승객 사전 안내
□ 아울러 시는 장애인 이용자가 대부분인 저상버스 예약시스템을 영유아를 동반한 유모차 이용자 등까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수종사자에 대한 교육과 대시민 홍보를 병행할 계획이다.
<장애인복지콜, 엄마아빠택시 등 교통수단 예약도 가능, 시각‧색약자 배려 디자인 구성>
□ 둘째, 장애인콜택시 등 교통약자의 이동을 돕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따로 찾을 필요 없이 서울동행맵 한 곳에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다. 시범기간 제공하던 ‘장애인콜택시’에 ‘엄마아빠택시’와 시각장애인 이동 지원 ‘장애인 복지콜’까지 추가로 연계했다.
구 분 | 관련 부서 | 이용 대상 |
장애인콜택시 | 교통실 택시정책과 | 휠체어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 신장장애인 |
엄마아빠택시 | 여성가족실 저출생담당관 | 24개월 이하 영아와 함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실질적 양육자 |
장애인복지콜 | 복지실 장애인자립지원과 | 보행이 가능한 시각장애인, 신장장애인 |
□ 시는 시범 운영 후 디자인도 개편했다고 덧붙였다. 시각약자, 색약자도 이용하기 편하도록 글씨 크기와 굵기, 색상 등을 변경해 시인성을 높였고 화면낭독기(스크린리더) 기능도 추가해 지도‧경로 검색 시 편의성을 높였다.
○ 장애인/일반인으로 구분했던 용어도 장애인/비장애인으로 변경했다.
<단차‧경사 피하고, 승강기 이용 등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편의시설 정보도 제공>
□ 셋째, 노약자·임산부,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등에게 단차, 경사, 보도폭이 좁은 길이 아닌 평지나 지하철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할 수 있는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도 해준다. 장애인 화장실 등 생활편의시설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 광진구 관내 지역에 대해선 장애인 복지시설 위치, 경사로 설치 상점 등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를 시범제공한다. 향후 자치구와 협업해 정보제공 범위를 서울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서울동행맵은 11월 1일(금) 10시부터 스마트폰 스토어(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원스토어)에서 내려받을 받을 수 있으며 카카오톡, 네이버, 구글 계정을 통한 간편 회원 가입 후 이용하면 된다.
□ 한편 서울시는 정확한 정보 제공과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중교통 및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대중교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동행맵’은 말 그대로 시민의 이동과 동행하는 대표적인 교통약자 지원 서비스”라며 “서울동행맵의 기능 고도화와 콘텐츠 다양화로 서울시민 일상 속 나침반이자 이동권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약자와의 동행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장애인/일반인으로 구분했던 용어도 장애인/비장애인으로 변경했다.
<단차‧경사 피하고, 승강기 이용 등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편의시설 정보도 제공>
□ 셋째, 노약자·임산부, 휠체어‧유모차 이용자 등에게 단차, 경사, 보도폭이 좁은 길이 아닌 평지나 지하철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로 이동할 수 있는 맞춤형 길 안내 서비스도 해준다. 장애인 화장실 등 생활편의시설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 광진구 관내 지역에 대해선 장애인 복지시설 위치, 경사로 설치 상점 등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를 시범제공한다. 향후 자치구와 협업해 정보제공 범위를 서울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서울동행맵은 11월 1일(금) 10시부터 스마트폰 스토어(앱스토어, 플레이스토어, 원스토어)에서 내려받을 받을 수 있으며 카카오톡, 네이버, 구글 계정을 통한 간편 회원 가입 후 이용하면 된다.
□ 한편 서울시는 정확한 정보 제공과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중교통 및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대중교통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동행맵’은 말 그대로 시민의 이동과 동행하는 대표적인 교통약자 지원 서비스”라며 “서울동행맵의 기능 고도화와 콘텐츠 다양화로 서울시민 일상 속 나침반이자 이동권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약자와의 동행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